▲사이버 워. 사진은 본 기사와 연관없음(이미지=셔터스톡)©AI타임스
▲사이버 워. 사진은 본 기사와 연관없음(이미지=셔터스톡)©AI타임스

(AI타임스=윤광제 기자) IoT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모든 전자기기가 일제히 탈취될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10월에 위기감이 커진 일본 정부는 일본의 인프라가 사이버 공격을 당할 경우, 그 보고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채택했다.

실제로 고속 증식 원자로인 몬주는 악성코드에 감염됐고, 일본은 강 건너 불구경할 처지가 아니었다.

■ 일본의 상황과 앞으로 나아갈 길
최근 일본 기업을 공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일본내 기업과 정부는 그 공격 주체와 배후 조직에 대한 추적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조직적인 해킹 공격’에 대해 개인에 의한 청탁으로 보기 어렵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즉 해킹 공격 이면에는 국가 차원의 의뢰, 정부나 군(軍), 정부에 가까운 기업. 그 어느 것인가가 배후에 있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지금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화된 디지털 세계, 즉 사이버 공간에서는 이러한 공작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사이버 보안 전문가는 “비즈니스에서는 한일 관계 악화를 틈타 한일 양국 서로를 공격하거나, 또는 양국을 모두 노리는 제 3국가의 사이버 공격이 일상화됐다”면서 “한편 안전 보장 면에서도 타국의 선거 개입이나 핵 시설의 사이버 공작 등 각국이 물밑에서 ‘사이버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리적인 군사 충돌이 일어날 것 같은 현장에서도 사이버 공격 없이 전투에서 승리할 수 없는 시대가 돼가고 있다”면서 “분쟁이 없는 평시에도 세계 각국은 사이버 공격에서 유사를 위한 준비를 활발하게 진행한다. 국가 간 협상 등도 우위에 옮길 수 있도록 사이버 공격에서 간첩 공작을 하는 것도 상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제 사이버 공간에서는 범죄도, 전쟁도, 간첩 공작도, 수단은 일반화됐다고 보고 있다. PC나 네트워크에 침입해 내부 시스템을 부정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수단이다. 은행 계좌의 패스워드를 훔치는 것부터 유명 인사의 사생활이 담긴 사진을 훔치거나 기업의 PC 정보를 거의 제거하는 것, 공장에서 작업을 부정 조작해서 파괴를 초래하는 것, 심지어 정전까지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게 됐다.

세계 각국은 앞으로 점점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 AI에 의한 자동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선진국인 일본도 그런 세계를 선도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정부와 기업의 사이버 보안 체계의 구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