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와 협업…운항경로 파악해 합·불법 어선인지 구분

자동신원 확인 시스템(AIS)이 부착된 부표. 올해부터 아프리카 해역을 운항하는 모든 선박은 이 장치를 달아야 한다. (사진=Greenpeace). ©AI타임스
자동신원 확인 시스템(AIS)이 부착된 부표. 올해부터 아프리카 해역을 운항하는 모든 선박은 이 장치를 달아야 한다. (사진=Greenpeace). ©AI타임스

(AI타임스=박혜섭 기자) UN 국제해사기구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아프리카 해역 불법 어선 단속에 나섰다. 세계 해양 소식을 전하는 마리타임 이그제큐티브(ME)가 최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같은 조치는 아프리카 영해에 침입하는 아시아 국가들 때문이다.

ME는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가나,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적도기니 등의 아프리카 국가에서 평균 75%의 불법 조업이 횡행했다고 전했다. 이 통계는 캐나다 비영리단체 에코트러스트가 조사한 결과다. 다이히아 벨하빕(Dyhia Belhabib) 연구원은 “지난 5년간 해외국가들의 불법조업으로 인해 아프리카 국민들은 어업 관련 약 30만개의 일자리를 잃었다”고 말했다.

아프리카 국민의 생계를 보호하고 해외 불법 어선을 잡아내기 위해 마련된 방안책은 구글의 AI와의 협업이다. UN 국제해사기구는 구글이 설립한 비영리단체 글로벌 어업 감시(Global Fishing Watch)에 아프리카 국가들의 운항선박 위치추적 시스템(VMS, Vessel Monitoring System)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앞으로 구글 AI는 국제해사기구에서 제공하는 VMS 정보를 토대로 배의 위치와 항적을 글로벌 어업 감시 홈페이지에 실시간 업데이트 해준다. 또한 AI는 운항경로를 파악해 불법 트롤선 어업인지, 정상적인 경로로 운항하는 어선인지도 가려낸다. 국제해사기구는 또한 아프리카 국가 해역에 들어오는 모든 어선에 올해부터 자동신원확인 시스템(AIS,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장치설치를 요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AIS는 VMS와 연결되어 있어 위치를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 전원을 끌 경우, 글로벌 어업 감시 홈페이지 관리자가 즉각 해당 어선을 추적할 수 있다.

한편, 세계무역기구(WTO)는 이러한 조치를 취했는데도 계속해서 아프리카 인근 해역에서 불법 어업을 이어가는 국가에겐 최대 20년간 접근금지 처분을 내릴 규제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