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방향 이상으로 접을 수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구현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은 최경철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연구팀이 높은 신축성을 지닌 유연한 기둥과 멤브레인 형태를 결합한 새로운 스트레처블 기판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노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스트레처블 전자소자의 핵심부품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기술을 활용해 스트레처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제작, 높은 유연성과 신축성을 갖춘 새로운 스츠레처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사진=KAIST)
기둥구조가 있는 유연기판과 패턴화한 단단한 기판을 결합한 형태의 기판 설명도 및 실제 기판 사진(사진=KAIST)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한 방향으로 구부리거나 접는 기존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와 달리 두 방향 이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웨어러블 기기 및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OLED 소자와 디스플레이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모든 재료를 신축성 있게 바꾸는 방식은 효율이낮아 상용화가 어렵고 패턴을 형성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 기존 스트레처블 OLED는 기판을 늘렸다가 복원해 얇은 주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효율이 좋고 안정적이지만 주름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신축에 따른 화면 왜곡이 있었다.

반면 최 교수 연구팀은 단단하게 패턴화 한 기판과 신축 시 기판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둥구조를 형성한 유연 기판을 결합해 새로운 형태의 스트레처블 기판을 만들었다.

(사진=KAIST)
OLED 신축에 따른 휘도-전류 특성 및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닌 신축 OLED(사진=KAIST)

기존 공정에 새로운 스트레처블 기판 부품 기술을 활용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도 증명했다.  이렇게 개발한 OLED 디스플레이는 소자에 걸리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거의 없어 화면 왜곡이나 급격한 휘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최경철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스트레처블 기판을 활용하면 스트레처블 OLED와 마이크로 LED, 센서 등을 구현할 수 있다"면서 "스트레처블 빛 웨어러블 전자소자와 전자약 기술 발전에큰 도움이 되는 기술"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