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ㆍ페북, 정부와 사용자 정보 공유 추진
디지털 프라이버시 보호단체 등 '제한적 공유' 요구

구글과 페이스북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를 정부와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로 인한 사생활 노출을 우려하고 있다. 향후 데이터 공유 실효성과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둘러싼 논란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미국 기술전문 매체 와이어드(WIRED)는 구글과 페이스북이 코로나19 확산 경로와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 이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18일(현지시간) 전했다.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이 방안은 지난 15일(현지시간)에 있었던 백악관과 기술기업 대표들이 모인 브레인스토밍 회의에서 처음 언급됐다. 이후 공중보건 비상 상황을 맞아 정부 기관과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기업은 데이터를 익명화해 사용자 사생활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동패턴을 보여주는 자료로 활용해 바이러스를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입장이다.

페이스북은 '데이터 포 굿(Data for Good)'이라는 프로젝트로 질병을 모델링하고 있다. 채프먼 대학 등과 협력해 사람들이 코로나19 핫스팟과 그렇지 않은 지역 사이에서 어떤 움직임을 보였는지 이동 패턴을 보여주는 지도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하지만 구글과 페이스북의 이같은 활동이 알려지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미국 정부가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받기 위해 사용자 동의나 법원 명령을 받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다만 이 절차는 비상 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마거릿 매든 조지아대학교 지리공간연구센터 소장은 "연구자로서는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인간 행동과 관련된 종합적이고 익명화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서도 "민간인으로서는 개인 데이터가 협약에 명시된 대로 이용될 것이라는 확신이 없는 한 민간기업이 정부 기관에 넘기는 것은 불편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또 캐롤라인 버키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원 부교수도 "사람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따르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거나 차후 바이러스가 다시 급증할 때에는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정했지만 "바이러스 확산 정보가 확실하지 않고, 전염병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공유 및 분석이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디지털 프라이버시 소비자 단체인 전자 프론티어 재단은 블로그에 "공중 보건 당국이 코로나19를 억제하기 위해 빅데이터 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지만 이는 의학적으로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면서 "국적이나 다른 인구 통계학적 요인 때문에 면밀히 조사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