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타 최종 통과...산업부, 과기정통부, 국토부, 경찰청 공동 추진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자율주행 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 내년부터 융합형 레벨4 수준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주도로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및 경찰청(청장 민갑룡)과 공동으로 추진한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 사업'이 지난 24일 예타를 최종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해 수립한 '미래자동차 발전 전략' 이행을 위해 내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7년간 총 1조974억원을 투입, 자동차 스스로 상황을 인지 및 판단해 주행하는 레벨4 수준 완전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4개 부처가 협력해 범부처 사업으로 추진한다. 부처간 기획ㆍ예산ㆍ집행 등 모든 단계에서 칸막이 없이 협업을 강화하는 '부처 매칭형 新협력모델'를 적용했다.

자율차 분야 핵심기술 개발과 인프라, 표준화, 법제 등을 포함한 종합적 지원으로 사업 투자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부처간 실질적 협력 체계를 구축해 사업 성과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자율주행자동차 기준
자율주행자동차 기준

자율주행기술은 현재 주행 차선 이탈 방지와 차량 간격 유지 등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하는 자율주행 레벨2 기술 수준을 상용화하고 있다. 운전자 개입을 최소화하고 차량 스스로 상황을 인지 및 판단해 주행하는 레벨4 수준 완전자율주행 기술은 전세계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단계다.

자율주행차는 미국자동차 기술자 협회(SAE)가 레벨 0∼5까지 기술 수준을 구분한다. 고속도로 운전 보조(HDA) 장치 수준은 자율주행 레벨 2단계에 해당한다.

정부는 융합형 레벨4 완전 자율주행 기술 완성을 목표로 ▲ 차량 융합 신기술 ▲ ICT융합 신기술 ▲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 서비스 창출 ▲ 자율주행차 생태계 구축 등 5개 분야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영상 인식ㆍ처리 기술과 상황 인지ㆍ예측 기술, 차량 탑재 자율주행 위치 정보ㆍ측정 기술 등을 개발 및 적용해 자율주행차 사고 발생률을 제로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자율주행 지능 고도화에도 나선다. '차량-엣지-클라우드' 구조를 활용해 데이터 처리와 차량통신ㆍ보안, 자율주행 AI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 'ICT융합 신기술'을 개발한다.

도로나 교통안전시설 등 교통 인프라 정보를 자율주행 기술과 연계할 방침이다. 도로ㆍ교통 시설물 인식 성능을 개선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관리 운영 기술을 구축하는 등 안전한 자율주행 환경 확보를 목표로 한다.

자율주행 서비스도 창출한다. 대중교통 자율주행 신산업을 육성하고 교통약자 이동 지원과 같은 사회적 현안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자율주행 생태계 완성을 목표로 안전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표준화 기준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법제 개선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사업으로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해 향후 교통사고 저감과 교통약자 지원, 교통 정체 완화, 안전ㆍ인증기준 수립 등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했다.

앞으로 4개 부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 사업 추진을 위해 향후 범부처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코로나19 이후 '로봇' '드론' 역할 늘었다

[관련기사] AI 반도체 1등 국가 구현할 산ㆍ학ㆍ연 컨소시엄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