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 대학들이 인공지능(AI) 인재육성을 위해 교육 혁신을 거듭하고 있지만 AI 전문가 영입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AI 인재육성이 국가 전략이 되고 AI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전문 교수 확보가 절실하지만, 수도권에서 멀어질수록 전문 교수를 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기자는 광주·전남 대학들의 AI대응 전략 기획 시리즈를 취재하고 있다. 전남대학교는 AI융합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내년부터 전교생 AI교양교육도 실시하려고 준비 중이다. AI교육에서 어려운 부분이 무엇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AI 전문인력을 찾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답했다. 채용 공고를 내도 적임자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호남대학교는 AI 특성화 대학으로 전교생 AI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올해 초 10명의 AI 교수를 채용하려 했지만 6명의 교수를 확보하는데 그쳤다. 순천대학교도 지난해 AI 분야 대학원 교수 채용 공고를 냈지만 지원자가 없어 무산됐다. 올해 신설되는 첨단소재부품학과의 경우 소재와 AI 분야 융합 교수를 확보하는데 성공했지만 국내 전문가 인력풀이 좁아 정보망을 총동원해 영입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캐나다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글로벌 AI 인재 보고서에 따르면 석‧박사 이상급 AI 인재는 미국이 1만 295명, 중국이 2천525명인 것에 비해 우리나라 AI 인재는 405명으로 AI인력가뭄이 심하다. 국내외 연봉차이도 영향이 크다. 미국의 경우 AI 분야 박사학위를 딴 AI전문가가 최소 연봉 5억 원을 받는 데 비해 한국 대학은 6000만 원~1억 원대다. 경쟁이 되지 않는 수준이다.

국내 AI 고급인력들은 더 높은 연봉을 주는 해외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다. 정부도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대책을 내놓았다. AI에 한정해 대학교수의 기업 겸직을 허용한다는 것. 하지만 수도권 대학보다 AI교수 확보가 어려운 지역대학들의 경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으로 보여진다.

광주광역시는 인공지능 중심도시사업, 전남도는 블루이코노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AI와 4차산업혁명으로 지역의 위기를 돌파하려 하고 있다. AI에 광주‧전남지역과 대학 모두 사활을 걸고 있다. 지역 대학들의 AI 전문가 확보 어려움을 더 들여다봐야 한다. 정부·지자체·대학이 함께 전략적 대응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이다. AI 전문인력 확보에 전폭적인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