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크라치오스 미 정부 국가최고기술책임자(CTO). (사진=Wikipedia).
마이클 크라치오스 미 정부 국가최고기술책임자(CTO). (사진=Wikipedia).

마이클 크라치오스 미 정부 국가최고기술책임자(CTO)가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개최한 버추얼(온라인) 테크놀로지 컨퍼런스에 참석해 “트럼프 행정부가 AI 활용에 관한 가이던스(AI 행정명령) 제작을 마무리 중”이라고 밝혔다. 대선을 약 열흘 앞두고 있는 시점이라 실행 여부는 불투명하다.

크라치오스 CTO에 따르면 현재 완성단계에 있는 가이던스는 지난 1월 미 정부가 발표한 ‘AI 규제원칙 10가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AI 활용 범위에 따른 비용 차이와 위험 가능성 여부를 더 보강했다.

WSJ 컨퍼런스에 참석한 크라치오스는 가이던스 제작을 위해 “많은 이해당사자들과 훌륭하고 활발한 대화를 나눴다”고 말하며 곧 최종판이 나올 것이라고 예고했다.

크라치오스는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출범한 ‘미국 AI 이니셔티브’ 핵심인물이자 총책임자로 꼽힌다. 미 정부의 AI·빅데이터·5G 정책 수립에 전권을 행사하는 그는 각 산업 분야 내 기관·기업들이 연구개발(R&D) 단계에서 AI를 활용하고, AI 관련 교육을 진행하도록 독려한다.

국가안보를 이유로 화웨이를 시작으로 중국 IT 기업을 견제하는 ‘클린 네트워트’ 정책 역시 그의 손에서 탄생했다. 우리 정부도 미국으로부터 이에 동참해 5G 통신망이나 클라우드 컴퓨터 구축 시 중국 기업 제품을 쓰지 않을 것을 촉구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

미 국립표준기술원(NIST)은 현재 크라치오스가 맡은 AI 이니셔티브와 별개로 AI 관련 자체 지침을 내린 바 있다. 미 국방부 역시 군사훈련이나 전쟁에 대비한 AI 응용 분야를 조사해 활용원칙을 발표, 시행 중이다.

백악관 행정부는 중국에 강한 제재를 가하는 동시에 AI기술 자립을 위해 대학과 연구기관에 수억 달러를 지원하는 크라치오스의 ‘AI 접근법’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지난 8월 크라치오스가 이끄는 이니셔티브는 AI와 양자기술을 위한 연구기관 12곳을 신규 선정해 7억달러 이상의 지원을 시작했다. 이를 발표하며 크라치오스는 “적들이 미국과 다른 가치판단으로 AI를 활용하려 한다”며 중국을 겨냥해 발언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국내 AI 산업에 초점을 맞춘 것과 맞물려 지난달 영국,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AI 규제원칙에 합의하는 등 AI 개발과 감독에 대한 국제공조를 추진해 오고 있다. 다만 대선 결과에 따라 수정이 전면 불가피할 수도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관련기사] 구글, 트럼프 행정부의 가상장벽 건설에 AI 기술 공급

[관련기사] 미 연방기관, AI로 연방규정집 속 오류 삭제·업데이트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