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전라도가 싫어요. 억양도 싫고, 지역 정치색도 싫고, 음식도 싫고, 시민들 기질도 싫어요." "전라디언(호남 지역 비하 용어)들아 5·18은 폭동이 맞다."

5·18광주민주화운동 41주년을 하루 앞둔 오늘(17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발언들이다. 왜곡과 폄훼를 넘어 혐오를 담은 발언들이 온라인상에 도배됐다. 어제 오늘만의 문제가 아니다. 매년 5월만 되면 어김없이 광주를 향한 혐오발언이 쏟아진다. 이러한 글을 보고 있으면 절로 속이 매스껍다. 무법천지 혐오공화국이 된 온라인 세계, 혐오발언을 뿌리 뽑을 방법은 없을까.

80년 광주는 대동단결을 외치며 하나가 된 세상이었다. 80년 공수부대 총에 맞은 시민군이 산화됐을 때 광주시민들은 태극기에 덮인 희생자들의 관 앞에서 애국가를 불렀다. 부상자를 위해 줄지어 헌혈에 동참했다. 광주 시내 의사, 간호사는 잠도 못자고 부상자를 치료했다. 이를 놓고 역사왜곡바로잡기연구회의 황현필 한국사 강사를 비롯 대다수 역사학자들은 "민주주의만을 위해 투쟁했던 정말 아름다운 민주화운동"이라고 평가한다. 민주화운동을 폄훼하고 지역 혐오발언까지 서슴지 않은 이들에게 새로운 생각을 갖게 하려면 ‘5·18 당시의 광주’와 ‘현재의 광주’가 동일선상에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줘야 한다.

수년간 SNS와 각종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5·18 민주화운동을 폄하하는 일이 수없이 벌어졌다. ‘광주시민들이 폭동을 일으켜 무장을 했고, 결국 군이 발포할 수 밖에 없었다’는 무장 폭동설부터 북한군 개입설까지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내용까지 등장했다. 이는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됐다. 심지어 이런 가짜뉴스를 사실로 믿고 퍼 나르는 이들도 많았다. 이 가운데 올해 1월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일명 '5·18 역사왜곡처벌법')이 시행됐다. 가짜뉴스 등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악의적 폄훼한 자들을 40년만에 최초로 형사처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허위사실 유포자에 대한 처벌법이 제정돼 가짜뉴스 유통이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되레 혐오발언은 늘고 있다. 5·18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으면서도 그저 이유 없이 싫다는 것이다. '혐오'는 타인을 싫어하고 미워한다는 뜻이다. 5·18, 광주 지역, 시민들을 향한 혐오를 담은 글, 영상 등이 온라인에서 꾸준히 양산되고 있다. 이처럼 특정 대상 집단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담긴 혐오 콘텐츠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사회에 악영향을 준다. 또 온라인 혐오표현은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고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법을 통한 규제가 쉽지 않다. 특정 지역과 집단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심어줄 우려가 크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혐오로 얼룩진 각종 플랫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면서 댓글 관리, 혐오표현 근절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네이버의 'AI 클린봇'과 같은 기술을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말한다. 'AI 클린봇' 기술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됐다. 욕설은 물론 무례한 표현까지 걸러낼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이같은 AI 기술을 개별 온라인 플랫폼에서 적극 수용하는 것이 혐오발언을 자정할 수 있는 좋은 시도라고 판단된다. 더불어 이용자들 스스로가 혐오발언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플랫폼을 건강한 시민 발언대로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키워드 관련기사
  • 광주 서구 캐릭터 ‘해온이’, AI 로봇으로 변신…“치매 어르신 돌본다”
  • 인공지능 입힌 '5·18기념공원' 어떻게 바뀔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