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형상의 기판 위에 인쇄된 3차원 나노구조체 이미지 (사진=KAIST)
다양한 형상의 기판 위에 인쇄된 3차원 나노구조체 이미지 (사진=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와 한국기계연구원(KIMM) 정준호 전략조정본부장 공동연구팀이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신축 기판 위 2차원 나노구조체의 안정적 구현과 인쇄될 기판의 표면 마이크로 구조 설계를 통해 3차원 나노구조체를 인쇄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KAIST 기계공학과 안준성 박사후연구원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저명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23년 2월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연구팀은 나노 스케일까지 안정적으로 2차원 구조체를 인쇄할 수 있는 나노전사 인쇄 기술과, 신축 기판에 가해진 압축력에 의해 좌굴된 최종 형상을 예측할 수 있는 설계 기법을 개발해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을 구현했다고 전했다. 

공유 결합 기반의 나노 전사 인쇄 기술은 탄성중합체 기판 위에 5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선폭을 갖는 금속 및 세라믹 물질의 안정적인 전사를 가능하게 했다. 또 전사될 신축 기판의 마이크로 패터닝을 통해 인쇄될 물질의 선택적인 접착과 좌굴을 쉽게 하고 접합부의 형상을 제어해 기판의 국부적인 신장률을 설계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통해 3차원 좌굴 구조체의 변형 정도, 방향성,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3차원 구조체의 형상을 설계하고 예측할 수 있는 나노 스케일 인쇄 방법을 고안했다. 개발된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공정은 유독성 및 폭발성 가스 감지를 위한 고성능 신축 가스 센서를 제작하는데 응용됐다. 이는 나노 스케일의 무기물 물질을 설계 및 제작하고 실제 응용 소자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인 것에서 그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2차원 나노구조체를 3차원으로 인쇄한 결과 (사진=KAIST)
다양한 형상을 갖는 2차원 나노구조체를 3차원으로 인쇄한 결과 (사진=KAIST)

박인규 KAIST 교수와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박사는 "개발된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은 나노구조체 제작 공정의 본질적인 문제인 낮은 범용성 및 디자인 다양성과 대량 생산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추후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 다양한 나노 전자 소자 제작에 활용될 수 있을 것ˮ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극한물성시스템 제조플랫폼기술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키워드 관련기사
  • KAIST, 계단을 오르내리는 사족보행 로봇 ‘드림워커’ 개발
  • KAIST 테라랩, 2023 대한민국 반도체 토크콘서트 개최
  • KAIST, 인공지능으로 코로나19 치료제와 기존 약물간 반응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