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제5차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소재 연구 데이터 수집ㆍ관리 체계 확보 목표로 소재 연구 혁신 허브 구축
소재 연구에 AIㆍ데이터 활용 위한 3대 서비스 제공

14일 열린 '제5차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정부가  인공지능(AI)ㆍ데이터 기술을 소재 연구에 접목ㆍ활용할 목표로 2027년까지 598억원을 투자해  관련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실험ㆍ이론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신소재 개발 기간을 단축하겠다는 의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는 14일 개최한 제5차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데이터 기반 소재 연구 혁신 허브 구축ㆍ활용 방안'을 확정하고 관련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방안은 산발한 소재 연구 데이터를 수집ㆍ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체계를 조기 구축하고, 소재 연구개발(R&D)에 수집한 데이터를 직접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 데이터 기반 소재  연구 혁신 허브 구축 ▲AIㆍ데이터 활용 3대 서비스 제공 ▲소재 연구 가속화 선도 프로젝트 3개 방안을 추진한다. 디지털 뉴딜 추경으로 확보한 재원 80여억원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598억원을 투입해 연구 데이터 수집ㆍ공유 플랫폼 구축에 착수할 계획이다. 

소재 연구 혁신 허브 구현을  목표로 데이터 수집ㆍ관리ㆍ활용 체계를 구축한다.

양질의 데이터 확보를 위해 2021년까지 구조ㆍ규격을 정한 '데이터 입력 표준 템플릿'을 확립하고 AI가 학습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420만건을 확보할 계획이다.

수집 대상은 R&D로 생성한 모든 데이터다. 부처별 소재 R&D 과제, 논문ㆍ특허 추출, 기존 데이터 재규격화 등 다양한 수집 방식을 활용한다.

이후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2026년까지 소재 연구 데이터 전용 고성능컴퓨팅(HPC) 환경을 구축하고 수집한 AIㆍ데이터를 소재 연구에 활용할 방침이다.

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소재 연구를 활성화한다.

'국가 소재 연구 데이터 센터'를 지정ㆍ운영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ㆍ환경, 스마트ㆍIT, 구조 등 소재 응용 분야별 특화센터도 배치한다. 정부 R&D 과제의 데이터 등록 의무화, 데이터 계층에 따른 접근 자격, 보안체계 등을 다룬 가이드라인도 마련한다.

소재와 데이터 분야 소양을 갖춘 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원)생, 소재 연구 인력, 기업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전문 교육도 지원한다.

AIㆍ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혁신 허브 내 △탐색ㆍ설계 △공정 개발 △측정ㆍ분석 3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AIㆍ데이터 활용 3대 서비스 

탐색ㆍ설계 서비스는 조성-구조-특성 상관관계를 예측ㆍ구현하거나 원하는 특성을 갖는 소재의 조성을 빠르게 설계할 수 있는 AI를 개발ㆍ제공한다.

공정 개발 서비스의 경우 구현한 소재의 우수 특성을 양산 공정에서도 구현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시뮬레이션, 모델링 등을 활용한 공정 개발 솔루션을 제공한다.

측정ㆍ분석은 소재 연구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요소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일부 연구자가 보유한 고난도 노하우를 수집ㆍ공유하고 해석 가이드라인과 장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도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소재 연구 혁신 허브와 3대 서비스를 소재 R&D 전(全) 과정에 활용, 신소재 개발 시간ㆍ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소재 연구 가속화 선도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소재ㆍ부품ㆍ장비 품목과 연계한 대형 중장기 R&D와 단기 시범 과제를 병행해 성공 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연구 데이터는 소재 연구 파이프라인에 혁신을 가져올 기폭제 역할을 한다"며 "데이터 활용으로 발광다이오드(LED), 탄소섬유를 잇는 신소재가 국내에서 확보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포럼 중계] "다원적 데이터 오너십 정립하고, 데이터 독점 방지하는 법적 틀 마련해야"

[관련 기사] EU가 뽑은 인공지능(AI)ㆍ로봇 기술 9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