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탁 단국대학교 교수 강연
영농형 태양광 실증사례 발표
농촌 회생 핵심은 소득 증대
추적식 태양광 연구 필요성 강조

윤성탁 단국대학교 교수는 29일 '영농형 태양광 실증사례'라는 주제로 영농형 태양광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윤성탁 단국대학교 교수는 29일 '영농형 태양광 실증사례'라는 주제로 영농형 태양광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영농형 태양광을 확산시켜 농촌의 고령화를 극복하고, 청년들이 살 수 있는 농촌을 만들어야 합니다."

윤성탁 단국대학교 교수는 29일 대구광역시 엑스코에서 열린 '2021 태양광 마켓 인사이트(PVMI 2021)' 영농형 태양광 세션 발제자로 나서 "살기 좋은 농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득이 보장돼야 한다"며 "영농형 태양광으로 소득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이날 '영농형 태양광 실증사례'를 주제로 작물 재배에 대한 심도깊은 실증 결과를 발표했다. 윤 교수는 영농형 태양광이 농촌의 변화를 이끌 '해법'이라고 주장했다. 농가 소득이 증대돼 도·농간 소득격차를 완화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 윤 교수는 "영농형 태양광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제도가 개선돼야 하고 차광율 감소 방안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성탁 단국대학교 교수의 주제발표 모습. 

이어 영농형 태양광 재배기술과 관련, 몇 가지 한계점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윤 교수는 "차광율을 줄이기 위해 태양을 쫓아 이동하는 추적식 등 복합적인 연구가 지속돼야 한다"며 "특히 도복문제와 낙수물 처리 문제 등이 극복 과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금속 노출 관련 연구 결과를 놓고 이날 참석자들은 흥미롭다는 반응을 보였다. 

실제 윤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감자-배추 이모작 재배 밭토양의 태양광모듈을 설치한 처리구와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 토양의 비소 등 중금속 8성분을 분석한 결과 8성분 모두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어 태양광모듈 설치에 의한 중금속 오염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교수는 "태양광 발전 시설의 수명이 20년이라고 가정할 때, 수명 만기 시점에서 중금속이 축적되지 않느냐는 우려가 있다"면서 "연구를 이어온 결과 중금속이 축적될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고 말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키워드 관련기사
  • [특집 PVMI 2021] 마코토 타지마 "농업·어업·축산업 모두 영농형 태양광과 결합 가능"
  • [특집 PVMI 2021] "영남대학교 영농형 태양광 모델로 경제성·생산량, 두 마리 토끼 잡았다"
  • [특집 PVMI 2021] "영농형 태양광, 농지보전·영농지속·농민중심으로 추진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