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피해 막으려 ‘재난 드론’ 실증사업 착수했지만 도입 시기는 미정
집중호우로 시민들 불안감 고조…재난 예방‧대응 드론 빠른 도입 요구돼
광주시, 5~6일 양동시장서 방수 드론 비행 실증…광주천 수위 측량
“모니터링 수준 아닌 피해 예측 가능한 안전 플랫폼 모델 만들어야”

 호의주의보가 내려진 6일 광주 북구 광주천 인근 두물머리에서 북구청 건설과 하수팀 직원들이 하천 수위 상승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산책로 출입 통제선을 설치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제공).
 호의주의보가 내려진 6일 광주 북구 광주천 인근 두물머리에서 북구청 건설과 하수팀 직원들이 하천 수위 상승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산책로 출입 통제선을 설치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제공).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장맛비로 인한 광주‧전남 피해가 속출하면서 드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재난 안전 플랫폼 구축 사업 시행 속도와 도입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광주·전남에 지난 5일부터 이틀간 500mm 안팎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피해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다. 전남은 주택 침수사고와 산사태로 인해 3명이 숨졌고, 주택 495동이 침수됐다. 광주도 장맛비에 광주천이 급격히 불어나면서 양동시장 둔치 주차장과 하천 옆 하부도로는 통제됐다. 무등산 탐방로, 국도 18호선을 비롯한 일부 도로의 차량 운행도 제한됐다.

장맛비로 인한 피해 우려에 드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재난 안전 플랫폼 구축 사업 시행 속도와 도입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북구는 지난 5월 24일 국토교통부 주관 ‘2021년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 광주 상습 수해지역 피해 예방·대응·복구에 드론을 도입하는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뉴스1, 셔터스톡). (사진 편집=구아현 기자).
장맛비로 인한 피해 우려에 드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재난 안전 플랫폼 구축 사업 시행 속도와 도입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북구는 지난 5월 24일 국토교통부 주관 ‘2021년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 광주 상습 수해지역 피해 예방·대응·복구에 드론을 도입하는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뉴스1, 셔터스톡). (사진 편집=구아현 기자).

7일 또다시 광주·전남에 호우특보가 내려지면서 지난해 여름 폭우로 수해 피해를 입은 시민들의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양동시장 인근 상인과 광주 첨단 산단 입주기업들은 지난해와 같은 수해 피해가 일어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난해 피해 규모는 첨단산단의 경우 총 142개사 200억 원, 평동산단은 41개사 70억 원대에 달했다.

이에 따라 안전대책 강화와 재난 안전 플랫폼에 대한 빠른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임미란 광주시의원(스마트시티 미래포럼 회장)은 “장마로 인한 침수 피해는 매년 비슷하게 반복되고 있는데 대책 마련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에 행정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북구에서 드론을 활용한 안전 플랫폼 구축이 빠르게 추진돼 5개 구청에 실질적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진=뉴스1 제공).
6일 오전 전남 광양시 진상면 탄치마을회관 뒷산에서 토사가 유출돼 주택 2채가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 소방당국이 주택에 있던 80대 여성에 대해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뉴스1 제공).

기업들은 재난 현장을 모니터링하는 수준이 아닌 피해까지 예측할 수 있는 안전 플랫폼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민 한컴엔플럭스 대표는 “현재 사물인터넷(IoT)과 플랫폼을 연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해 예측하는 기술은 이미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 30분 전에 경보를 울리거나 예방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며 “정밀한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플랫폼과 현장 데이터 센서 또는 드론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융합해 간단한 AI 기술로 피해 규모까지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야 효과가 있다”고 제안했다.

수해 피해 우려에 첨단 기술을 활용한 재난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지만 드론 재난 안전 플랫폼 구축은 당초보다 예산 지급이 늦어져 6월 말 드론 개조를 마치고 7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드론 실증에 들어갔다. 광주시 자동차산업과 관계자는 “당초 6월부터 드론 실증을 개시하려고 계획했지만 예상보다 지자체 공통으로 예산 지급이 늦어졌다”며 “방수 드론, 비행 드론, 수소방역 드론 개조가 완료돼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와 참여기업 공간정보는 7월 6일 양동시장 광주천변에서 드론 재난 대응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방수 드론 실증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와 참여기업 공간정보는 7월 6일 양동시장 광주천변에서 드론 재난 대응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방수 드론 실증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광주시 제공).

광주시 자동차산업과 관계자에 따르면 6일 기준 총 6회 방수 드론 비행을 통해 양동시장 일대 지형측량 및 교량 점검 실증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재난 안전 부서에 제공, 실증을 통해 사업의 안정성이 확보되면 향후 성과물로 활용할 계획이다.

드론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3D 모델링 변화와 일자별 지형 변화량을 분석할 수 있는 관제 플랫폼은 구축이 된 상태이다. 이를 드론과 연동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드론을 이용한 실증은 이달부터 11월까지 실시된다. 도심 속에 운용되는 드론에 시민이 놀라지 않도록 세부 일정을 홈페이지에 사전 공개, 안전요원을 배치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와 참여기업 공간정보는 7월 1일 첨단산단 및 영산강변에서 드론 재난 대응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방수 드론 실증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광주시 제공).

한편, 광주시는 6월 16일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착수식을 열고, 드론을 활용한 재난 대응 플랫폼 구축‧실증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광주‧전남에 쏟아진 비로 많은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하자 ‘피해 예방-긴급대응-수해복구’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재난안전 플랫폼' 구축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에 신청, 지난 5월 최종 선정됐다.

사업내용은 ▲비행선 드론을 활용한 상습 피해지역 순찰임무 실증 ▲방수 드론을 활용한 지형측량 실증 ▲재난발생 위험지역 출동, 영상 전송 실증 ▲수소방역 드론을 활용한 재난복구 임무 실증이다. 실증장소는 지난 2월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된 광주 북구 첨단산단 및 영산강변과 양동시장(광주천변) 일원으로 지난해 집중호우로 체계적인 재난대응 시스템이 시급한 곳이다.

AI타임스 구아현 기자 ahyeon@aitimes.com

[관련기사] “폭우 피해 막는 드론, 6월부터 광주 서구 양동시장에서 볼 수 있다”

[관련기사] 광주시,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닻 올렸다

취재노트
드론, AI기술은 폭우 등 재난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올라왔다. 지난해 광주지역 수해피해가 커 대책으로 드론을 활용 대응 재난안전망 플랫폼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도입까지 아직 먼 상태이다. 모든 역량을 도입해 수해 재난에 대한 체계적인 안정망 시스템을 빠르게 구축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단순한 모니터링 수준이 아닌 피해 규모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재난 안전망 시스템 수준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키워드 관련기사
  • 미래 먹거리 '드론·UAM산업' 육성 날개 단 광주광역시
  • 해외에선 드론으로 백신 수송도 하는데…생필품 배달도 먼 전남도
  • 무인살상드론, 자율적으로 공격했다… 유엔 보고서 통해 밝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