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DC, '스마트시티 시장 트렌드 보고서' 발간
규제 완화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가 과제

포스트코로나 시대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 기업과 시민 등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되고, '언택트'를 키워드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적용 영역은 크게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한국IDC제공)
(사진=한국IDC제공)

정보기술(IT) 분야 시장분석 및 컨설팅 전문업체인 한국IDC는 최근 발간한 '국내 스마트 시티 시장 트렌드 보고서'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내 스마트시티 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이같이 정리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국IDC는 보고서에서 최근 국내 스마트시티 특징을 세 가지로 설명했다. 첫째는 ICT인프라 공급자 주도형 개발에서 시민 체감형으로 초점 변화다. 이로 인해 바텀업 방식으로 스마트 도시민의 경험을 강화하고 시 전체의 공감으로 도시를 개발하는 형태로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다. 도시에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적용해 볼 수 있게 되면서 그 파급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셋째는 다양한 영역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가 확산된다는 것이다. U시티에서 시작된 스마트시티가 기존 서비스 고도화와 함께 교육, 문화, 행정, 시민참여, 스마트 워터, 공중 보건 등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대되는 추세다.

과제로는 사회 전반의 생활 환경 및 양식 변화에 대응하는 포스트코로나 방안 마련을 제시했다.

국토교통부가 보건복지부와 함게 '스마트 시티 데이터 허브'로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 사업에서 국토교통부와 질병관리본부가 협력했고 경찰청, 통신사, 여신금융협회, 신용카드사등 민관이 협력체계를 만들었다. 그동안 스마트시티 발전 저해요인 가운데 하나였던 정보 및 조직간 외부와 소통 단절을 완화하면서 상황에 맞는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정보 취합과 공유는 사생활 침해를 비롯한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안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적 보완과 사회문화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코로나19로 촉발된 사회 전반의 언택트 추세는 스마트 시티 행정과 운영 및 대시민 서비스 전반에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드라이브 스루 진료, 로봇AI진료, 보건소 AI상담사 등 코로나 대응 외에 도시 행정 및 운영과 시민의 생활도 변화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외부 업체 공모 사업을 비대면 영상 사업설명회로 검토하고 있으며, 초중고교 온라인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대중교통 대신 마이크로 모빌리티 이용도 증가하는 추세다.

김경민 한국 IDC 수석연구원은 "IoT, 빅데이터, AI 등 디지털 기술로 데이터가 통찰력을 지닌 정보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국내 스마트 시티 상황은 공급자 주도에서 기업 및 시민 중심으로 이니셔티브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한단계 진화하고 있다"며 "조직의 정보 사일로와 규제 및 개인정보보호 등 문제는 계속 해결해야할 과제"라고 말했다. 사일로는 외부와 소통하지 않는 부서를 가리키는 말이다. 과거 전자산업계를 호령했던 소니의 몰락 이유 가운데 하나로 지목된다.

그는 또 "코로나10 확산을 막기 위한 조직간 데이터 공유가 사일로를 완화하면서 한 단계 발전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생성하는 반면에 사생활 침해라는 사회 문제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면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언택트 트렌드와 함께 도시 회복탄력성을 고려한 인프라 및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영국, AI 교통신호등 시스템 도입 추진

[관련기사] 알파벳, 스마트시티 구축 프로젝트 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