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LAB 젊은 과학자 총 9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 특징점 학습 방식 연구 분야 개척...브리티시 컬럼비아대 이광무 교수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박유빈 기자2021-09-01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 "VR 경험 통해 현실에서 바꾸기 힘든 행동 변화 가능하다"... 조지아대 안선주 교수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정윤아 기자2021-08-06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 개인정보보호 머신러닝,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AI 분야 ...조지아대 이재우 교수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정윤아 기자2021-08-02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 구글 코로나19 예측 AI 개발한 윤진성 박사…도쿄올림픽에도 영향끼쳐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박성은 기자2021-04-02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 “대칭구조 반영 딥러닝으로 AI 핵심 문제 해결에 도전”...딥마인드 김현직 박사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박성은 기자2020-12-25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 알파고를 넘어 새로운 강화학습 세계를 연다...딥마인드 오준혁 박사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이정태 기자2020-10-22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 "향후 10년 컴퓨터 비전 분야 비약적인 변화 보일 것"....미 캘리포니아대 이용재 교수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이정태 기자2020-09-04 -
[글로벌Lab 젊은 과학자] "10년 내 몸짓과 표정 이해하는 AI 나와요"...주한별 페이스북 AI연구소 박사
“로봇이 인터넷에 올라온 요리 영상을 보고 요리하는 법을 배울 수 있게 됩니다.”“향후 10년 내 AI로봇이 사람과 마주보고 대화하면서 시각적·언어적 정보를 주고받으며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을 겁니다.”소셜 AI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주한별 박사가 이메일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장밋빛 미래를 그려 놓은 것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지만, 우리 앞에 ‘쉐프가 요리하는 걸 보고 학습해 요리하는 로봇’이 등장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짜릿한(?) 느낌을 갖게 한다.미국 페이스북 AI리서치(FAIR)에서 인공지능 연구자로 활동 중인 주한별
이정태 기자2020-07-22 -
[글로벌 Lab 젊은 과학자]구글과 4족 로봇 만든 하세훈 미 조지아텍 교수
[편집자 주]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 첫걸음이 인재 양성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때문에 해외 여러 곳에서 특히 미국 등 선진 국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인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탐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또, 미래의 한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의 현재와 그 성과를 만나보
이정태 기자202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