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원의 디지털 세상 이야기 4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메타버스로 대비하는 초고령화 사회

    메타버스로 대비하는 초고령화 사회

    지난해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오는 2025년이면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1%에 이를 전망이다.UN 기준으로도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는 의미다.여러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통계청자료는 2040년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노년부양비가 63.4%를 차지, 유소년부양비의 4배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생산연령인구도 감소해 돌봄인력과 공간부족 등 사회적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해결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로 서비스로봇, 자율주행차량,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실버헬스서비스다. 영상통화나 화상회의 기반의 돌봄

    조금원 KISTI 오픈XR 플랫폼 융합연구단장
    2023-04-28
  • 대 중국 반도체 수출규제로 보는 한국 슈퍼컴퓨터 개발

    대 중국 반도체 수출규제로 보는 한국 슈퍼컴퓨터 개발

    일본과 네덜란드가 미국의 대 중국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제재에 동참하기로 했다. 세계적인 반도체 장비업체인 도쿄 일렉트론과 ASML이 참여한다. 중국은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를 구매할 거의 모든 길이 막히게 됐다.이에 앞서 미국은 고성능 인공지능(AI)과 학습용 반도체 및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14나노 공정보다 앞선 반도체 생산라인 장비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14나노 기술은 최신 기술보다 3세대 뒤지지만 중국에서는 핵심분야를 육성하는데 꼭 필요한 기술이다.지난 2016년 6월에 중국은 세계 1위에 등극한 타이후라이트 슈퍼컴퓨터에 독자

    조금원 KISTI 오픈XR 플랫폼 융합연구단장​​​​
    2022-12-26
  • 메타버스와 디지털트윈의 결합은 새로운 연구개발 패러다임

    메타버스와 디지털트윈의 결합은 새로운 연구개발 패러다임

    1990년 출현한 웹은 과학자의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당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컴퓨터과학자로 근무하던 팀 버너스 리는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는 연구자 간에 즉각적인 정보공유와 협력을 위해 웹을 고안했다. 현장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한 것이 지금은 창조적이며 혁신적인 글로벌 협업 플랫폼이 됐다. 또 2000년대 들어 다양한 정보가 디지털화되고 과학분야 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자 CERN과 유럽 과학자들은 '이-사이언스(e-Science)'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이는 거대 입자물리 실험데이터와 다양한 컴퓨팅

    조금원 KISTI 오픈XR 플랫폼 융합연구단장
    2022-10-19
  • 슈퍼컴퓨터 6호기 예타 통과 의미

    슈퍼컴퓨터 6호기 예타 통과 의미

    과학기술정통부는 지난달 발표한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사업 예산타당성이 통과됐다고 발표했다.4차사업혁명의 기반을 확고히 할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슈퍼컴퓨터 활용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초고성능컴퓨터는 법률적 용어이고, 일반적으로는 슈퍼컴퓨터라고 한다.국내 슈퍼컴퓨터 발전과 함께 해온 연구자 가운데 한 명으로서 산ㆍ학ㆍ연 연구현장에 계신 모든 분들과 정부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KISTI 연구자와 예타 위원들의 수고와 노력에도 감사한다.슈퍼컴퓨터의 중요성을 알리려

    조금원 KISTI 오픈XR 플랫폼 융합연구단장
    2022-09-16
  •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