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생활방역 개인지침 아바타 수어 동영상 사례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생활 방역 지침 내용 다룬 음성 서비스 및 애니메이션 수어(手語)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 향후 시ㆍ청각 장애인 대상 긴급재난방송에 활용 가능해 정보격차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ㆍ원장 김명준)은 딥러닝 및 자연어처리(NLP) 기업 이큐포올과 한국농아인협회 공동 연구로 시ㆍ청각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딥러닝ㆍ그래픽 기술을 활용해 정부 코로나19 생활 방역 지침 음성 서비스 및 수어 애니메이션을 공개했다고 3일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정부는 확진자 정보와 동선, 대책 등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다양한 형태로 안내하고 있다. 하지만 시ㆍ청각 장애인은 장애 유형에 맞는 안내를 충분히 받지 못해 적절한 대응이 어려웠고, 장애인 정보 격차가 발생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ETRI는 코로나19 대응에 소외 계층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보 접근에 취약한 시ㆍ청각 장애인 대상 음성ㆍ수어 콘텐츠를 제작했다.

이번 콘텐츠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수어로 지침을 안내하는 영상과 코로나19 관련 문자메시지를 합성음으로 읽어주는 서비스다.

이번 서비스는 연구진이 개발한 딥러닝 번역 엔진을 활용해 긴급재난안내문자 내용을 수어 원고로 바꾸고 이를 다시 수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방식이다.

연구진이 만든 영상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표한 코로나19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과 개인이 지켜야 할 5가지 수칙별 행동 요령을 농식 수어로 표현했으며, 자막을 음성으로 변환ㆍ합성한 내용이 담겨있다.

농식 수어란 수어와 한국어 문법 체계가 달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어 방식으로 수어 문법 체계에 맞는 수어를 말한다.

ETRI는 ▲한국어를 한국 수어로 자동 번역하는 '한국수어방송' 기술 ▲감정 표현이 가능하도록 학습한 음성을 활용한 '상황해설방송' 기술 ▲감정 표현과 음향 효과를 인식, 다양한 자막 표현이 가능한 '감정 표현 자막방송' 기술을 연구하면서 중간 결과물로 이번 영상을 제작했다.

ETRI는 한국농아인협회 감수를 거쳐 이번에 제작한 수어 애니메이션 영상을 연구원 홈페이지에 우선 공개하고 점차 배포처를 확대할 방침이다.

ETRI 연구진이 아바타 스크립트 번역 과정을 점검하는 모습
(왼쪽부터 이한규 책임연구원, 최지훈 책임연구원)

향후 연구진은 미디어 콘텐츠 전반을 대상으로 자막과 수어 번역 대상 분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공공 시설 민원 안내와 온라인 학습 시스템 등 생활 정보를 전달 가능한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흥묵 ETRI 미디어연구본부장은 "스마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기존 방송 콘텐츠뿐 아니라 생활 및 재난 정보에 접근을 도와 장애인 안전과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촉각으로 소리 전달한다...ETRI, 촉각 피치 시스템 개발

[관련 기사] 5G와 AI 이용한 드론 서비스 나온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