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토대학의 연구원들이 인간과 로봇 사이의 대화를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 웃음을 주고받는 대화형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AI 시스템은 웃음을 감지하고 웃을지 그리고 어떤 웃음이 가장 좋을지 결정한다.
IT매체 씨넷은 일본 교토대학 연구진이 AI를 이용해 휴머노이드 로봇 ‘에리카’(Ericas)에게 대화 중 적절한 시기에 웃음으로 반응하는 법을 가르치고 있다고 19일 보도했다.
에리카는 사람의 질문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대답을 할 수 있어서 인간과 대화가 가능하며 인간과 같은 목소리와 다양한 표정을 가지고 있다.
코지 이노우에 교토대학 조교수는 "우리는 대화형 AI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공감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로봇이 사용자와 공감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웃음을 나누는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연구원들은 여배우가 마이크를 통해 에리카 로봇을 조작해 남학생들과 대화를 하고, 그 내용을 녹음해 80개 이상의 대화에서 훈련 데이터를 수집했다. 그다음 데이터를 분석해 로봇이 인간과 대화하지 않을 때나 웃음을 지을 수 있는 순간 등을 구분한 다음 AI 시스템을 훈련시켰다.
에리카는 대화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 것부터 낄낄거리는 웃음까지 다양한 수준의 웃음으로 대화에 응답할 수 있게 됐다.
연구원들은 에리카의 웃음 반응에 대해 공감, 자연스러움, 인간과의 유사성 및 이해에 대한 평가를 수행했다. 에리카의 웃음이 다소 어색한 부분이 있었지만 대화에 공감하며 적절한 때에 웃음으로 반응했다.
이노우에는 "로봇은 사실 개성이 있어야 하는데 웃음, 시선, 몸짓, 말투 등의 대화 행동을 통해 이를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이게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마침내 친구와 같이 로봇과 캐주얼한 채팅을 할 수 있으려면 10~2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 위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딥마인드, 축구하는 AI 휴머노이드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