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5·18 행사의 하이라이트로 불리는
전야제가 올해 취소됐습니다.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5·18행사위가 전야제를
전면 취소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취소된 전야 행사는
온라인과 전시회를 중심으로 다채롭게 진행돼
시민들의 아쉬움을 달랬습니다.
▶ 박희경 / 광주 광산구 운남동
5·18 40주년 맞이해서 아이들도 꾸준히 5·18교육 받고 있는데,
함께 5·18 민주화운동의 뜻을 기억하고, 행사에 참여해보고자 나왔습니다.
아이들과 기념관 둘러보면서, 그 때의 기억도 떠올리며 좋은 시간 보냈습니다.
과거 거리 행사가 주를 이뤘던 전야제 형식이 아니라
시민들이 직접 금남로 주위 사적지를 둘러보는
참여형 방식으로 펼쳐졌습니다.
(S.U) 유형동 기자 / YHD@aitimes.com
코로나 여파로 전야 행사는 취소됐지만,
이 곳 금남로는 5월을 기억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시민들이 마스크를 잊지 않고 끼고 전시 관람에 나서
공동체 정신을 더욱 빛내고 있습니다.
특히 5.18민주화운동 당시, 공수부대의
시민 진압장면을 촬영한 장소이자,
헬기 사격의 표적으로 추정되는 전일빌딩이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총탄 흔적 245개가 발견된 사실을 상징해
최근 '전일빌딩245'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헬기 사격의 증거가 애니메이션으로 재현되고,
당시 참상을 알리는 영상과 사진도 전시됐습니다.
또 시민들은 5·18 기록관을 찾아 민주 열사들의
넋을 위로하고, 민주화 정신 계승을 다짐했습니다.
▶ 김중회 / 광주 서구 치평동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다고 해서 마음 속의 5·18까지 거리를 둬선 안된다.
그런 마음으로 기록관을 찾아서 기념하고, 추모하기 위해서 왔습니다.
40주년 임에도 불구하고,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
40주년 50주년 100주년 이후에도 시민들이 5·18을 기억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이 외에도 거리에는 5월 정신을 기억하자는 메시지가
곳곳에 내걸렸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행사는 취소되거나 축소됐지만,
시민들의 참여의식으로 40년 전 격전지가
기억의 공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한편, 제 40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은
5·18 최후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 앞 광장인
5·18 민주광장에서 개최됩니다.
AI타임스 유형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