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과학자가 정반대 주장을 한다면 누구를 믿으십니까? 당신이 한국인이라면 과학자 대신 인공지능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미 비영리 연구 기관 퓨 연구 센터(PEW Research Center)가 20개국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및 과학자 등에 대한 신뢰도 조사를 한 결과, 한국인들은 인공지능에 대해 69%의 긍정적(Positive)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학자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 않았다.
PEW 연구 센터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유럽, 러시아, 북미, 남미,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만18세 이상의 성인(항목별 700~1500명, 평균 1000명 대상)을 상대로 과학, 과학자, 인공지능 그리고 정부 정책 등 신뢰도를 조사했다. (원문 링크)
조사 결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나라들이 인공지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답변 중 3분의 2 정도가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약 20%가 부정적. 이 중 한국은 긍정적 평가 69% 수준으로, 조사대상 20개국 중 싱가포르에 이어 인공지능 등에 대한 신뢰 항목에서 2위를 기록했다.
과학자에 대한 신뢰 항목에서 한국은, ▷매우 신뢰(A lot) 14% ▷약간 신뢰 (Some) 57% ▷신뢰하지 않는다(Not at all) 23%를 나타내 조사대상 20개 국가 중 높은 신뢰 부문 최하위권에 속했다. 인공지능에 대해 높은 신뢰 수준을 보인 한국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대부분 '과학자를 매우 신뢰한다'는 응답이 하위 50% 이하로 낮았다.
유럽지역에서는 평균 47%가 인공지능의 발전이 사회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고 브라질이 53%, 러시아 52%, 미국 47%, 캐나다가 46%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는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긍정·부정 시각이 엇비슷했다. 프랑스는 ‘부정적’ 답변이 ‘긍정적’ 답보다 10% 포인트 이상 많아, 인공지능에 대해 회의적 시각을 보였다.
이밖에 평균 48% 수준에서 업무 자동화 발전이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쳤다고 답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평균을 상회하는 61%가 업무 자동화를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반면, 스페인과 프랑스에서는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각각 37%와 35%를 기록하며 업무 자동화에 대한 불신을 보였다.
퓨 연구 센터 (PEW Research Center)는 2004년 설립,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비영리 연구 기관으로 국제적인 사회문제, 대중 여론, 인구통계학적 동향 정보를 제공한다. 미디어 분석과 여론 조사를 통한 인구 통계 연구를 진행한다.
[FOCUS] 인공지능(AI) 윤리 기준 최신 업데이트 4가지 키워드
[AI & Tech] EU, AI법 3원칙 마련···“고위험 AI 사고시 운영자 책임” 등
[AI & 산업] '남녀구별이 사라진' 얼굴인식 AI... ‘트러스트 AI’ 강하게 추진하는 구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