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청 전경. (사진=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청 전경. (사진=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오는 31일부터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을 시민에게 개방한다. ‘광주시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은 데이터 기반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적재‧가공‧분석해 데이터 시각화를 통합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저장‧처리‧분석까지 All-In-One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돼 있다.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교통과 인구, 민원, 관광, 7대 안전(교통사고‧화재‧범죄‧생활안전‧자살‧감염병‧자연재해) 분야의 데이터를 분석한다.

광주시는 교통관리공단등 관련 기관에서 정형데이터를 제공받아 시간과 연령대 등으로 다양하게 분석해 지도 이미지와 그래프를 포함한 시각적 방법으로 분석데이터를 제공한다. 교통 이용량은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에서 지난 2년간의 유동인구와 승하차 이용률을 분석한다. 또 인구와 관광분야의 경우 통신사의 통화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다.

(사진=‘광주광역시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홈페이지 캡쳐).
(사진=‘광주광역시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홈페이지 캡쳐).

분석 결과는 행정기관에서 관련 정책에 활용함은 물론 시민에게 공개된다. 분석 결과 활용으로 교통 혼잡 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과 지역사회 안전 분야 등에 높은 활용성이 기대된다.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은 플랫폼 홈페이지로 접속하거나 시 홈페이지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손경종 광주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행정에서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책 수립이 중요하다”며 “향후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과 품질 개선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행정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성도. (사진=광주광역시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캡쳐).
광주광역시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성도. (사진=광주광역시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캡쳐).

한편 광주시는 지난달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선제적으로 준비‧대응하기 위한 조직개편안을 마련하고 관련 조례·규칙을 입법예고한 바 있다. 당시 조직 개편안은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행정·도시 기능 강화하는 내용을 담아 눈길을 끌었다.

광주시는 인공지능 중심도시를 표방한 만큼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행정체계로 전환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정책 구현을 위해 기존 ‘스마트시티과’를 ‘스마트도시담당관’으로 기능을 재편한다.

‘스마트도시담당관’은 도시 전반의 스마트화 기획·조정기능 강화를 위해 기존 인공지능산업국에서 기획조정실로 이관되며, 정보화담당관과 연계해 공공분야 스마트 업무환경 조성 및 디지털행정 등도 추진하게 된다.

AI타임스 윤영주 기자 yyj051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