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에 인공지능(AI) 자율무기 개발에 찬성하는 보고서가 제출돼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미국 AI 국가안보위원회(National Secruity Commiss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가 AI 자율무기 사용‧개발 금지에 동의하면 ‘안 된다’는 보고서 초안을 국회에 제출했다고 27일(현지시간) 로이터, 가디언 등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는 유럽의회의원실(Member of European Parliament)이 지난 20일(현지시간) AI ‘킬러로봇’ 사용에 문제를 제기하며 ‘AI의 군사적·비군사적 사용지침서(가이드라인)’을 발표한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미국 의회에 해당 초안을 제출한 AI국가안보위원회는 앞서 25일부터 26일간 ‘국가 안보와 기술 발전을 위한 AI’를 주제로 공개 토론회를 진행했다. 토론회는 전 구글 CEO 에릭 슈미트(Eric Schmidt)가 사회를 맡았다.
이틀에 걸친 토론 끝에 AI국가안보위원회는 자율무기 사용을 금지하기보다는 확산 방지에 힘을 쏟는 게 옳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토론회에서 미국 전 국방부 차관 로버트 워크(Robert Work)는 “자율무기가 전투에서 인간보다 실수를 적게 해 표적 오인으로 인한 사상자가 줄어들 것”이라며 “적어도 이 가설을 추구하는 건 도덕적 의무(moral imperative)다”라고 발언했다.
위원회는 자율무기 위험에 대해서도 인정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출신으로 알려진 한 토론 참여자는 군사충돌이 심화될 우려가 있는 상황에 자율무기가 신속히 반응하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경고했다.
토론회는 자율무기 외에도 데이터 수집과 검토 간소화를 목적으로 정보기관에 AI 사용을 권장했다. 이에 연간 320억달러(약 35조) 예산을 배정해 AI를 연구해야 된다는 보고서를 작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보고서에는 미국 부통령이 의장을 맡은 기술 경쟁력 협의회와 미국 의무대를 기반으로 디지털 군단을 꾸리는 내용도 포함됐다.
위원회는 오는 3월 최종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며, 권고 사항에 구속력은 없다.
한편 미국에선 지난 8년간 비정부단체 연합을 중심으로 ‘킬러로봇’ 금지 조약 체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돼 왔다. 이번 금지 조약에는 브라질과 파키스탄을 포함한 30개국이 동의한 바 있다.
비정부단체 연합을 꾸려온 메리 웨어함(Mary Wareham)은 위원회가 "중국, 러시아와 비슷한 투자 경쟁에 주력하고 있다"라며 "이는 군비 경쟁을 부추길 뿐이다"라고 말했다.
AI타임스 장희수 기자 heehee2157@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