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을 접목한 첨단 국방 기술 체계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한자리에 모였다. 국방 기술이 가진 한계점을 파악하고 신기술을 접목시키기 위해 논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가 22일 미래국방기술 분과위원회 제1회 회의를 오후 3시에 열었다. 현재 국방 무기체계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자는 게 본 분과위원회 목표다. 미래국방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의 제안사항, 역량, 활용 방안을 보고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계돌파형 미래국방기술 연구개발(R&D) ▲민군겸용 AI 핵심원천기술 개발 ▲AI 기반 과학화경계시스템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 이번 회의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은
과기정통부는 양자 등 신기술 기반 무기체계를 국방에 접목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출연연의 연구와 인프라를 활용해 미래국방 기술과 플랫폼 개발, 장기 연구, 반도체 등 첨단분야를 가진 민간 혁신기업과 군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국방과 민간이 동시에 활용 가능한 AI 핵심 원천기술 개발 추진방향도 언급했다. 특히 산악지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 등 국방과 민간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을 병행하자는 방안을 논의했다.
AI를 활용한 경계시스템으로 경보를 고도화하는 방안도 다뤘다. 레이더, 카메라 등 다양한 탐지 장비를 연동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람 여부를 식별하는 방안이 제기됐다.
과기정통부는 미래국방분과위를 운영함으로써 반드시 확보해야 할 핵심 미래기술을 발굴할 예정이다. 더불어 R&D 투자방안도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방효충 민간위원장은 “민간 부문의 첨단과학기술을 국방에 접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논의가 주요 목표”라며 “민간분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AI 전투로봇, 첨단 이동체, 합성생물학 등 첨단과학기술이 앞으로 중요할 전망”이라며 "국방에 첨단과학기술을 합쳐 발전하도록 총력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 '미래국방기술 분과위원회'란
미래국방분과위는 지난 10월 7일 출범한 범부처 국방과학기술위원회를 지원하는 3개 분과위원회 중 하나다. 분과위원회는 ▲국방과학기술정책분과 ▲미래국방기술분과 ▲민군기술협력분과로 이뤄졌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민간 전문가(KAIST 방효충 교수)가 공동위원장이다. 관계 부처 실장급과 산‧학‧연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다. 국방 체계에 첨단과학기술을 접목할 방안을 구체화하고 개발, 투자할 예정이다.
정부위원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조정관,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방사청 차장, 기재부 예산실장으로 이뤄졌다.
민간전문가는 하정우 네이버 AI Lab 소장, 양은경 KIST 부원장, 김성철 서울대 교수, 정도현 아주대 교수, 이규택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 신산업 MD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AI로 안전하게 지뢰 찾는다...인공지능 활용한 지뢰 제거 실증랩 열어
[관련 기사]인공지능으로 미군 지상 전투 차량이 바뀌고 있다
- 한국IBM, 한국중부발전에 AI 기반 차세대 통합보안관제시스템 구축
- 오픈AI, GPT-3 API 사용 위한 대기자 명단 삭제...모든 개발자 즉시 사용 가능
- 현대제철, 딥러닝 기반 '취성파면율' 측정 기술 개발...송유관 균열 문제 사전 예측 가능
- 서울도서관, 디지털 기반 '서울기록문화관'으로 12월말 오픈
- SKT, 'AI통화녹음' 기능으로 음성통화를 문자로 자동전환해준다
- KT, 국제 의료 AI 경진대회에서 1위 수상
- 클라우드 대전환 협의체 출범...클라우드·SW 기업 협업으로 "디지털 대전환 이끌어"
- [인터뷰] AI 활용한 신규 감염병 대응시스템 개발 시작..."보편적 거리두기 2m 한계 넘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