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브레인(대표 김일두)이 ‘구글 TPU’로 1엑사플롭스가 넘는 국내 최대 딥러닝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도입한다고 25일 밝혔다. ‘KoGPT’에 적용한 AI 연구 효율을 100배 이상 높이기 위해서다.
플롭스(FLOPS,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는 컴퓨터 연산 속도 단위다. 1엑사플롭스는 초당 100경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 '구글 TPU'란
‘구글 TPU’는 구글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연산 인프라다. 데이터를 빠르게 계산하고 가공할 수 있는 장치다. GPU를 여러 대 컴퓨터에 분할해 설치하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아도 GPU보다 빠르다. 복잡한 연산을 갖춘 상위 시스템을 슈퍼컴퓨터 한 대에서 활용할 수도 있다.
해당 인프라로 AI 연구모델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클라우드 방식을 활용해서 연구자가 시스템에 자유롭게 접속이 가능하다.
카카오브레인 김일두 대표는 “‘KoGPT’를 비롯한 언어모델을 비롯해 초거대 AI의 다양한 모델에 슈퍼컴퓨터를 활용함으로써 연구 효율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KoGPT'란
Open AI 언어 모델 ‘GPT-3’를 고도화한 한국어 특화 버전이다. ▲주어진 문장의 긍정과 부정 판단 ▲긴 문장 한 줄 요약 ▲문장 추론해 결론 예측 ▲질문을 하면 문맥 이해해 답변하는 등 언어를 가지고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언어 과제를 수행한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 카카오 신임 공동대표로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 내정...여민수 대표는 연임
- 'ICT InnoFesta 2021' 개최...디지털 창업·벤처기업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
- KT SAT, 위성통신에 AI·빅데이터 적용…실시간 모니터링 탐지 기술 자동화
- 한국인터넷신문협회, ‘2021 언론대상 및 언론윤리대상’성료...본보 유형동 기자 수상
- 심장병 진단에서 치료까지...심장 전문의에 도전하는 인공지능
- [단독] 카카오가 공개한 초거대 AI, 점수 과장됐다
- 일본전기(NEC), 세계최대 슈퍼컴퓨터 구축 나서
- "제조업도 AI 쉽게 하자"...구글 클라우드, 제조 AI 지원 솔루션 발표
- LG와 카카오 '초거대 AI' 뒤에 구글 'TPU v4'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