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DX부문장)이 4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팔라조 볼룸에서 ‘미래를 위한 동행(Together for tomorrow)’을 주제로 ‘CES 2022’ 기조연설에 나섰다. 올해 CES 기조연설은 전세계 기업과 기관을 대표해 17명이 연단에 오른다. 첫 글로벌 무대에 나선 한 부회장은 기조연설자로 나서 친환경을 통한 삼성 제품의 지속가능성과 고객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2025년까지 모든 모바일·가전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재활용 소재를 사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날 한 부회장은 “글로벌 팬데믹 위기는 모두가 공존하는 세상의 가치를 일깨웠다”며 “전자 업계와 고객사, 소비자 모두가 작은 변화를 만드는데 동참한다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큰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종희 부회장은 소비자들이 지속가능성을 갖춘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데 동참하게 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를 ‘지속 가능한 일상(Everyday Sustainability)’이라고 명명하며 한 부회장은 삼성의 다양한 제품군에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TV, 스마트폰 등 주요 제품들은 영국의 친환경 인증기관인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로부터 제품 전체 라이프 사이클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있다는 인증을 확보했다. 한 부회장은 "반도체의 경우에도 지난해 ‘탄소 저감 인증’을 받은 메모리 반도체 5종은 각각의 칩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을 70만톤 가량 줄이는 데 기여했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TV 등 디스플레이 제품은 올해 전년 대비 30배 이상 많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해 제조할 계획이며, 2025년까지 모든 모바일ㆍ가전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재활용 소재를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제품 포장과 폐기 단계에서도 친환경 요소를 강화한다. 포장 박스 안 스티로폼과 홀더 등 부속품을 일괄 재활용 소재로 대체할 계획인 한편 2009년 이래 세계 각국에서 500만 톤에 이르는 전자 폐기물을 안전하게 수거해 처리해왔다는 게 한 부회장의 설명이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구를 되살리기 위해 사업을 한다는 미션을 가진 글로벌 친환경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Patagonia)와 함께 미세 플라스틱 배출 저감을 위한 기술을 함께 개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MZ 세대를 염두에 둔 제품들도 등장했다. 이어진 신제품 발표에서 삼성전자의 20대 직원들로 구성된 ‘퓨처 제너레이션 랩’ 구성원들이 영상으로 등장했다. 2022년형 비스포크 홈과 올해 CES에서 최초 공개된 핸디형 프로젝터 스크린 ‘프리스타일’ 등 신제품을 직접 소개했다. 신규 게임 플랫폼 ‘게이밍 허브’와 게임 전용 디스플레이 ‘오디세이 아크’ 등도 Z세대의 호응을 이끌 신제품들이다.
이날 기조연설을 마무리하며 한 부회장은 “미래를 위한 동행은 꼭 실천 돼야 한다”며 “다음 세대가 원하는 변화를 이루고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기술을 발전시키고 혁신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관련 기사] [CES 2022] 개막 D-1…막바지 준비로 분주
[관련 기사][CES 2022] '인공지능과 사물 연결' 보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