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전병곤 AI연구원 부원장, 함종민 AI연구원 CIC센터장, 정재욱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소장, 장병탁 AI연구원 원장, 허은철 GC녹십자 대표, 신현진 목암생명과학연구소 부소장, 강형묵 GC녹십자 디지털혁신실장. (사진=서울대)
(왼쪽부터) 전병곤 AI연구원 부원장, 함종민 AI연구원 CIC센터장, 정재욱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소장, 장병탁 AI연구원 원장, 허은철 GC녹십자 대표, 신현진 목암생명과학연구소 부소장, 강형묵 GC녹십자 디지털혁신실장. (사진=서울대)

서울대 AI연구원(원장 장병탁)이 제약 분야 연구 개발을 위해 기업·연구소와 손잡았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 목암생명과학연구소(소장 정재욱)와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질병 유전체 연구 플랫폼 구축을 하기로 했다. 서울대 AI연구원이 제약 분야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기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 AI연구원, GC녹십자, 목암생명과학연구소가 경기도 용인 목암타운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통해 AI 알고리즘을 이용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질병 관련 유전체·단백질 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해 힘쓸 예정이다. 

이번 협력으로 GC녹십자사와 목암연구소는 서울대 AI연구원 멤버십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공동연구를 위해 서울대 교수진과 제약 산업을 위한 AI 연구센터도 구성할 방침이다. 특히 GC녹십자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활용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AI 플랫폼을 활용할 계획이다. 해당 치료제 개발은 목암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 중인 프로젝트다. 

정재욱 목암연구소 소장은 “이번 협력으로 우리 연구소가 작년부터 준비했던 AI 플랫폼 구축이 실질적으로 질병 관련 유전체 연구, mRNA 플랫폼 연구, 희귀질환 연구 등 신약개발에 다양하게 적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은 “GC녹십자를 통해 서울대 신약개발 연구가 다양하게 실현될 기회를 가졌다”며 “이번 협약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AI기반 신약개발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대 AI연구원은 최근 네이버 초대규모 AI 연구센터 설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동연구 등 여러 IT 기업과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향후 AI 역량이 부족한 분야 대표 기업도 도울 계획이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서울대 'AI최고경영자 과정' 신설...1월 21일부터 모집 시작

[관련 기사]글로벌 석학 '핫플' 네이버... AI·검색 분야에 세계적 전문가 영입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