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마이크로웨이브 장애를 AI로 관제하는 '닥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도입했다. (사진=KT)
KT가 마이크로웨이브 장애를 AI로 관제하는 '닥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도입했다. (사진=KT)

KT가 마이크로웨이브 장애를 인공지능(AI)으로 관제하는 '닥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도입했다고 22일 밝혔다. 마이크로웨이브 설비는 전국 도서산간에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이다. 닥터 마이크로웨이브는 이 설비의 장애 감지 시간을 40분에서 1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 해당 기술 적용으로 도서산간에 보다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닥터 마이크로웨이브는 도서산간 지역의 기후적·지형적 특성 및 네트워크 장비의 경보·성능 정보 등을 AI 모델에 복합적으로 학습시킨 기술이다. 24시간 장애를 감시하고 장애 발생 위치와 원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운영 및 장애 제거 조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애 유형별 최적의 복구 방안도 실시간 추천해준다. 기존 데이터 기반으로 장애 원인 분석 정확도도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다.

KT는 닥터 마이크로웨이브 도입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설비 장애 감지 시간을 40분에서 1분으로 대폭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웨이브 장비는 유선으로 직접 연결이 어려운 구간을 전파를 통해 연결한다. 산지가 많고 섬이 많은 한국엔 필수 장비로 꼽힌다. 도서 산간 지역에서 이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면 통신이 두절 된다. 

KT는 앞으로 닥터 마이크로웨이브를 고도하해 네트워크 이상징후 예측 및 AI 기반 시설점검 자동화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종식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은 "AI 네트워크 관제 시스템을 계속 발전시켜 전국 도서산간 지역 고객에게 더욱 안정적인 고품질의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관련기사]KT-픽셀스코프, AI로 스포츠 중계 기술 확장한다...'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어떨까?

[관련기사]KT, AI 실무 자격인증 'AIFB' 공개...3월 첫 정기시험 시행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