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에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최근 중국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에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최근 인공지능을 이용한 중국의 신약개발 투자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폴의 기술매체인 오픈거브 아시아(OpenGov Asia)는 최근 주요 온라인 건강관리 정보 제공업체 산하 산업 데이터베이스의 한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중국에서 AI로 구동되는 의약품 연구개발에서 자금조달 이벤트 수와 총 자금조달 가치가 2020년보다 거의 두 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 보고서는 정확한 수치를 밝히지 않았지만 이런 증가세는 개선된 규제 환경과 증가하는 시장 수요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매체는 중국 내 25개 인공지능(AI) 기반 의약품 발견 기업이 2021년 신규 융자를 받았으며 다른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중국에서 AI 지원 약물 발견을 위한 자금 조달이 80억 위안(12억6000만 달러)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매체는 중국의 신약 기업이 약물 개발에서 실제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사례를 제시했다. 지난 2월 상하이에 핵심 연구 개발팀을 갖고 있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방식의 한 약물 발견 회사는 AI가 어떻게 그 방법론에서 중심이 됐는지를 밝혔다.

이 회사 연구진은 AI 구동 약물 발견 플랫폼에 의해 생성된 최초의 항알코올성 소분자 억제제를 1상 임상시험에서 다수의 건강한 지원자에게 투여했다. 그 결과 AI 기술로 개발된 이 의약품의 임상 1상 실험이 세계 최초로 이뤄졌으며 이는 획기적인 일이라고 이 회사는 평가했다.

최근에 인실리코는 AI 신약 발견 플랫폼으로 항알코올성 억제재  임상 시험에 성공했다. (사진=셔터스톡)
최근에 인실리코는 AI 신약 발견 플랫폼으로 항알코올성 억제재 임상 시험에 성공했다. (사진=셔터스톡)

이 새로운 항섬유화 표적과 약물 후보를 발견한 회사는 인실리코이며 모두 AI 플랫폼을 이용해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물 표적 (drug target)은 체내에 있는 분자로 보통은 단백질이며 특정 질병 과정과 본질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원하는 치료 효과를 내기 위해 약물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다.

이 회사는 또한 중국의 거대 제약회사와의 협업 프로젝트에서 혁신적인 암 면역 치료제를 위한 임상 전 후보 화합물을 지명하기도 했다.

줄어든 규제가 모멘텀으로 작용 

매체는 중국에서 인공지능이 제약 산업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전했다. 중국에서는 AI가 지원하는 약물 발견 붐이 탄력을 받고 있는데 산업 전문가와 재계 지도자들에 따르면, 이 모든 것이 혁신 주도형 개발에 중점을 둔 덕분이며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혁신 생태계를 개선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의 인프라는 이러한 AI 주도 기업들에게 핵심 역할을 제공하는데 지난 20년 동안 정교하고 발전된 인프라를 구축해 왔으며 이 기반시설은 어디서든 신약 발견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모든 신약을 합성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또 중국이 많은 규제 장벽을 줄임으로써, 기업들이 혁신과 신약 개발을 위해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도록 만들고, 이는 다시 새로운 개발 모멘텀으로 작용해 바이오 제약 기업들이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화웨이 등 중국의 첨단 기업들이 AI 발견 신약개발에 대거 나서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화웨이 등 중국의 첨단 기업들이 AI 발견 신약개발에 대거 나서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화웨이 등 신약개발에 대거 투자 

한편 중국 기업들은 현재 텐센트·화웨이·바이두 등에 이어 틱톡의 모기업 바이트댄스도 AI 지원을 제약업계로 확대하는 등 AI를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바이두는 AI 구동 약물 발견과 진단에 초점을 맞춘 생명공학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약 20억 달러를 모금할 계획을 재작년에 밝혔다. 화웨이의 경우, 의약품 발견, 의료영상 등 제약·의료산업 일부 연구 분야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확대했다.

지난 2016년 자사의 AI 랩을 만든 바이트댄스는 인공지능 팀 확대를 모색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구동되는 의약품 발견과 제조 분야의 첨단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능한 후보를 찾고 있다.

AI타임스 조행만 객원기자 chohang5@kakao.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