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GS-IES)이 최근 한국수자원학회가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통합물관리의 도약, 디지로그(Digilog) 물관리’ 학술발표회 전시회에 참가해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소개했다. 왼쪽부터 특성화대학원의 협력기업인 UniAet 위건복 프로, 협력기업 JH Solution 김병재 프로, 협력기업 JH Solution 전제형 부장, 협력기업 JH Solution 이정훈 대표, 서울대학교 강준석 교수, 서울대학교 김재경 연구원, 서울대학교 백승헌 연구원, 협력기업 UniAet 안중현 부장, 서울대학교 윤혜령 인턴, 서울대학교 이정준 연구원, 서울대학교 조준영 연구원, 서울대학교 송예민 교육조교. (사진=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제공).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GS-IES)이 최근 한국수자원학회가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통합물관리의 도약, 디지로그(Digilog) 물관리’ 학술발표회 전시회에 참가해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소개했다. 왼쪽부터 특성화대학원의 협력기업인 UniAet 위건복 프로, 협력기업 JH Solution 김병재 프로, 협력기업 JH Solution 전제형 부장, 협력기업 JH Solution 이정훈 대표, 서울대학교 강준석 교수, 서울대학교 김재경 연구원, 서울대학교 백승헌 연구원, 협력기업 UniAet 안중현 부장, 서울대학교 윤혜령 인턴, 서울대학교 이정준 연구원, 서울대학교 조준영 연구원, 서울대학교 송예민 교육조교. (사진=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제공).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GS-IES)이 최근 한국수자원학회가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통합물관리의 도약, 디지로그(Digilog) 물관리’ 학술발표회 전시회에 참가했다. 특성화대학원은 많은 전문가들과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학원과 관련된 사업 정보를 공유하고, 산학 협력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은 전시회에서 별도 부스를 마련했다. 부스는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강준석 교수를 필두로 연구진 10여 명이 함께 운영했다. 강 교수와 연구진들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춘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기술을 시민들에게 쉽게 소개했다.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의 교육과정과 전망에 대한 정보도 제공됐다. 특성화대학원은 환경 모니터링, 빅데이터 분석, 환경 서비스 전반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지능형 환경산업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관계자들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대학원 교육과정과 최신기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제공).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관계자들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대학원 교육과정과 최신기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제공).
VR 활용한 디지털트윈 기술 체험을 하고 있는 한 참관객. (사진=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제공).
VR 활용한 디지털트윈 기술 체험을 하고 있는 한 참관객. (사진=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제공).

최근 수자원 분야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는 있는 가운데 특성화대학원은 향후 스마트 환경 계측 센서, 스마트 맨홀 등 다양한 관련 기술 개발은 물론, 이와 연계된 산학 협력을 기대할 수 있는 유망한 대학원으로 손꼽힌다.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강준석 교수는 “이번 수자원학회 부스 운영이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이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관련 전문가와의 교류를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로 판단해 참여했다”며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탄탄한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전문인력 양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GS-IES 교육조교 송예민GS-IES 연구원/코디네이터 김재경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행사 부스 모습. 교육조교 송예민(왼쪽), 김재경 연구원·코디네이터(오른쪽). (사진=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 제공).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인언스 특성화대학원 SK임업 업무협약식. 사진 서울대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인언스 특성화대학원과 SK임업 간의 업무협약식. (사진=서울대 제공).

한편 서울대학교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특성화대학원은 최근 SK 임업과 '환경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관련 기술 고도화에 힘 쓰고 있다. 특성화대학원과 SK 임업은 ▲기후위기대응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환경 기술개발사업 발굴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분야 인식확산을 위한 현장 교육, 인턴십 및 강의 추진 ▲특성화대학원 참여 학생 산업체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지능형 에코사이언스 및 탄소배출 저감 관련 정보교류, 양 기관 인프라 공동 활용 등을 공동 추진하고 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관련 기사] [해시태그AI] 노래·춤까지 매력 많은 '가상인간'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관련 기사] [빅데이터로 본 정치] 한동훈 법무부장관, SNS상 유력 정치인급 관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