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서비스(대표 김윤의)가 신청한 이음5G 주파수 할당과 기간통신사업 등록이 26일 완료됐다. 이는 네이버클라우드, 엘지CNS에 이은 세 번째 적용 사례다. 이번 주파수 할당을 통해 디지털트윈 서비스 등을 시작해 전 산업분야에 다양한 5G 확산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음5G는 5G 융합서비스를 희망하는 사업자가 직접 5G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특정구역 단위로 5G 주파수를 활용하는 통신망이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이 가능한 5G 특징을 잘 나타낸다. 사람과 사물, 더 나아가 사회까지 이어준다는 의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과기정통부)는 SK네트웍스서비스의 이음5G가 센트랄 창원공장 내에 구축할 방침이라고 26일 밝혔다. 자율이동로봇(AMR) 운용으로 공장 물류를 자동화하고, 디지털복제(디지털트윈) 기반 관리·관제 서비스로 실시간 제조공정 모니터링과 시뮬레이션해 유연한 생산체계를 구현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SK네트웍스서비스가 계획하는 디지털트윈 등의 서비스가 대규모 데이터 용량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28GHz 대역 등 신청한 주파수대역 전체를 할당했다. SK네트웍스서비스는 주파수 할당 대가로 센트랄 공장에서 이를 3년간 이용하는데 약 480만원을 지불한다. 해당 공장은 연면적이 2만7868㎡다.
과기정통부는 SK네트웍스서비스가 제출한 이용자 보호계획 등의 적절성을 검토해 필요 최소한의 이용자 보호방안 등의 조건을 부과해 이음5G 서비스 제공을 위한 회선설비 보유 기간통신사업자 등록을 처리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올해는 이음5G가 토지·건물 기반 5G 서비스를 시장 곳곳에 확산해 디지털 전환 선봉장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