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정복 기술로 주목받는 ‘중입자치료’ 등 방사선 의과학 분야의 발전에 UNIST(총장 이용훈)와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연수)이 함께 나서기로 했다.
UNIST와 서울대학교병원은 3일(금) 오전 11시 UNIST 대학본부 6층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에 따라 양 기관은 중입자치료 중심의 스마트 방사선 의 과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스마트 헬스케어 기반 의료산업 기술의 경쟁력 확보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중입자치료는 중입자가속기를 통해 가속된 탄소(C)나 헬륨(He) 같은 무거운 입자를 인체에 쪼일 때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최신 방사선 치료다. 기존 X선 치료나 양성자 치료보다 암세포 살상력이 높으며, 정상조직 피해를 최소화한다고 알려졌다.
중입자치료의 필수요소인 중입자가속기는 전 세계적으로 13대(5개국)밖에 없을 정도로 드물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과 부산에 중입자가속기가 설치될 예정이며, 이 중 한 대 는 2026년 개원할 예정인 서울대학교병원 기장암센터에 들어선다.
UNIST와 서울대학교병원은 중입자가속기를 활용하는 스마트 방사선 의과학 분야에서 융합연구를 진행하며, 관련 인력양성도 추진할 계획이다. UNIST는 이미 인공지능(AI) 과 빅데이터 등의 ICT 기술과 방사선 활용 기술, 바이오헬스 분야의 첨단 연구기반을 갖추고 있어 양 기관의 협력이 원활할 전망이다.
김연수 서울대학교병원 원장은 “중입자가속기를 활용해 연구를 고도화할 전문인력은 세계적으로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양 기관의 협력을 통한 공동연구와 인력양성은 스마 트 방사선 의과학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훈 UNIST 총장은 “UNIST의 원자력공학과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인공지능대학 원 등에서 갖추고 있는 우수 연구인력과 첨단 연구 인프라가 양 기관의 협력에 밑바탕 이 될 것”이라며 “2026년 서울대학교병원 기장암센터 개원 시 인력교류와 공동연구가 확대되면 동남권에 방사선 의과학 분야를 선도할 세계적 연구그룹이 탄생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날 협약식에는 UNIST의 이용훈 총장, 정웅규 바이오메디컬학과장, 방인철 원 자력공학과장, 조형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스마트 헬스케어 센터장), 이지민 원자 력공학과 교수(스마트 방사선 의과학 연구센터장), 명경재 바이메디컬공학과 교수(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장), 윤의성 원자력공학과 교수, 김연수 서울대학교병원장, 우홍균 중입자가속기사업단장, 김경수 중입자가속기사업단 교수, 정성문 중입자가속기사업단 교 수, 노재붕 중입자가속기사업행정팀 과원 등이 참석했다.
AI타임스 박찬 위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