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확장현실(XR) 형태인 메타버스에서 자유롭게 상호작용하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XR 협업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기존 기술로는 5명 내외만 협업할 수 있었다. 해당 플랫폼은 최대 11명 참여자 데이터 동기화와 상호작용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참여자가 많아도 진행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 실제와 가상 공간 오차도 3cm 이내다. 향후 메타버스 관련 서비스 창출을 비롯한 상용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ETRI가 새로 개발한 XR 메타버스 플랫폼은 ▲XR 공간 구축·확장 ▲3차원 참여자의 고정밀 위치인식(VPS) ▲개별 사용자 손동작 인식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등을 통해 사용자 간 다양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SW) 기술이다.
사용자 간 상호 움직임이 0.1초 이내에 동기화되도록 플랫폼을 최적화했다. 실제 움직임이 0.1초 이내에 플랫폼에 반영된다는 의미다. 가상-실제 공간 오차는 2.85cm 이내다. 참여 인원이 10명까지 늘어도 플랫폼 연산속도가 그대로 유지된다.
사용자 손동작도 빠르고 정밀하게 인식한다. 단일 계층 딥러닝 추론 기법을 사용해서다. 손동작이 많아도 0.01초 만에 인식할 수 있다. 플랫폼이 갖춘 짧은 동기화 속도는 ETRI에서 구축한 5G MEC 테스트베드를 통해 검증됐다.
작년 12월 경남 통영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육 시나리오에 적용했다. 원격 비대면 교육 시범 서비스를 통해서다. 추가적으로 올해 10월 대전시 소재 초등학교에 20명 대상으로 추가 실증도 계획했다.
손욱호 ETRI CG/Vision연구실 박사는“수준 높은 XR 기반 메타버스 협업 플랫폼 기술로 원격 협업 기반의 교육, 제조, 오피스, 홈 등 다양한 분야로 상용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