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아동 학대 이미지를 적발하기 위해 고객들의 아이폰을 들여다 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일 웹사이트에서 불법적 이미지를 찾아내 제거하는 ‘포토DNA(PhotoDNA)’라는 스캔 기술을 개발한 미 캘리포니아 대학의 해니 파리드(Hany Farid) 교수가 이런 주장을 했다고 보도했다.
파리드 교수는 영국의 정보통신본부(Government Communications Headquarters, GCHQ)와 국립 사이버 안보센터(National Cyber Security Centre)가 스캔기술을 개별 전화기에 확대 적용하는데 동의하며 애플도 과감하게 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의 인터넷감시재단( Internet Watch Foundation, IWF) 산하 아동 안전 그룹이 제작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반대는 상대적으로 소수인 사생활 보호단체에서만 나온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대다수 시민들은 ‘옳다, 이 방안이 확실히 합리적이다’라고 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소수지만 목소리가 큰 집단이 애플에 대해 엄청난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애플은 비겁하게 이 압력에 굴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파리드 교수는 나아가 ”애플은 입장을 확고히 하고 ‘이는 옳은 일이며 우리는 실행할 것’이라고 말해야 하며 애플뿐만 아니라 스냅챗과 구글 등 모든 온라인 서비스들도 이를 실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애플은 앞서 지난해 8월 다른 아동 안전 조치들과 함께 아이폰에 대한 스캔(client-side-scanning, CSS) 계획을 처음 발표했다. 애플은 이를 위해 아이폰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려 했다. 새 소프트웨어는 애플이 이용자의 아이폰 단말기에 있는 사진 라이브러리에서 규제 당국에 이미 알려져 있는 웹상의 불법 이미지들을 찾아내고 이런 이미지를 갖고 있는 이용자들을 아동보호기관에 통보하는 기능을 갖출 예정이었다.
그러나 사생활 침해 소지가 크며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한다는 시민단체들의 거센 반발에 따라 애플 측은 이 계획 추진을 중단했고 지금까지 재론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난달 영국의 보안 당국 책임자들은 다른 압제적인 국가들이 도용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런 스캐닝 기능을 도입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영국 보안당국의 이안 레비(Ian Levy)와 크리스핀 로빈슨(Crispin Robinson)은 ”디테일이 문제“라면서 ”모호한 언어나 과장법을 사용하면서 일반론 차원에서 이 문제를 논하는 것은 잘못된 결론에 이르게 할 것“이라고 보고서에 썼다.
파리드 교수는 애플과 다른 기술 기업들이 입법에 앞서 행동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온라인 안전 법(online safety bil)이 영국 정부를 통해서 그리고 디지털 서비스법(Digital Services Act)과 디지털 시장법(Digital Markets Act)이 브뤼셀에서 입법이 추진되고 있는데 따라 지금은 이들 회사가 이 조치를 실행하겠다고 말할 때“라며 만일 이 회사들이 행동하지 않으면 강력히 개입해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레비/로빈슨 보고서와 관련해 마이크 텅크스(Mike Tunks) IWF 정책 분야 책임자는 ”지난 몇 년동안 정부는 기술기업들이 아동 학대물에 대해 정면으로 대응하기를 원한다고 말해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동안 쓸 수 있는 (스캔) 기술이 없는 것으로 알았지만 이 보고서는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다“고 평했다.
AI타임스 정병일 위원 jbi@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