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15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에서 '제9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간담회'를 열고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 추진을 위한 연구 및 교육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정부는 지난달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로드맵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메타버스 대학원 2곳을 신설하고, 내년에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대학원 3곳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 2027년까지 데이터 대학원 10곳을 새로 만들고, AI 융합 대학원과 융합보안 대학원을 확대하는 등 5대 핵심기술 분야별 전문대학원을 신설·확대할 방침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석박사생들을 최고 인재로 길러내기 위한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박 차관은 또 간담회에 앞서 디지털 분야 석박사 양성을 위해 선정된 11개 대학에 대한 합동 현판 증정식에도 참석했다.
그중 6곳은 대학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ITRC)로 지정된 곳으로, 정부 지원을 받아 차세대 이동통신(중앙대), AI 반도체(서울과학기술대), 디지털 콘텐츠(세종대), 양자 정보통신(포항공대), 사이버 보안(고려대), 정보통신기술 융합(광운대) 분야의 첨단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다.
또 배재대, 전남대, 경북대, 울산과학기술원, 숭실대 등 5곳은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는 지역 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그 지역의 주력산업과 연계한 산학 공동연구, 석박사 학위 재교육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김영하 기자 yhkim@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