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가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가상화폐 결제를 도입한다. 데이터 센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인텔과 공동 개발한 칩도 공개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11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진행한 연례 기술 컨퍼런스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2'에서 이같은 내용의 서비스 확대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계획을 공개했다.

우선 미국 최대의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와 제휴해 2023년 초부터 가상화폐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방법은 선택된 소수의 고객에게 먼저 제공하며, 차츰 적용 범위를 넓힐 것으로 보인다.

코인베이스는 현재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도지코인, 시바 이누, 라이트코인 등을 거래하고 있다. 또 이번 제휴로 코인베이스는 데이터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기존 아마존에서 구글 클라우드로 옮기게 됐다.

이처럼 가상화폐로 서비스 비용을 받는 것은 주요 클라우드 업체 가운데 처음이다. 구글 클라우드는 이를 통해 더 많은 기업이 자사 서비스를 사용하기를 희망했다.

구글은 또 인텔과 함께 데이터 센터의 CPU 부하를 줄이고 클라우드 워크로드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E2000'이라는 새로운 맞춤형 IPU 칩을 공동 설계했다고 밝혔다.

E2000 IPU는 구글의 새로운 C3 가상머신(VM)에 적용, 고속 패킷 처리에 알고리즘을 사용해 데이터 트래픽을 식별하고 다른 패킷보다 우선 순위를 지정한다. 현재 비공개로 C3 VM을 사용 중인 스냅은 이로인해 성능이 20% 향상됐다고 밝혔다.

인텔은 이 칩을 다른 기업에 판매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구글 클라우드는 이어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가 기존 35개에서 오스트리아, 체코, 그리스, 노르웨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스웨덴 등 6개국이 추가, 41개국으로 늘어난다고 발표했다.

한편 토마스 쿠리안 구글 클라우드 CEO는 "이제 디지털 전환은 필수가 됐으며 데이터와 인공지능은 모든 것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클라우드 산업에도 중요한 시기가 찾아왔다"고 강조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