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가 올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1462억원을 투입한다. (사진=셔터스톡)
중기부가 올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1462억원을 투입한다. (사진=셔터스톡)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가 올해 중소기업 스마트제조 혁신을 위해 1462억원을 지원한다.

그동안에는 스마트공장 양적 확대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고도화에 초점을 맞춘다. 다만 민간 출연금을 활용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은 민잔의 자율적 협력을 감안해 기초단계를 계속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 수준은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는 기초단계와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는 고도화1 단계 및 이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고도화2 단계로 구분한다.

중기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구축 추가 지원 목표로 정부지원형 428개와 상생형 330개 등 총 758개 기업으로 설정했다. 기초단계 구축은 200개, 고도화 단계는 558개 기업을 지원한다.

올해는 보다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정부지원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 선정 기관을 테크노파크 소속 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으로 변경한다.

또 고도화 단계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에 충분한 사업 준비기간을 부여해 내실있는 사업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신청기간을 30일에서 45일로 늘렸다.

이밖에 업종별 특화 등 일부 사업을  폐지하고 투자연계형이나 부처협업형 및 공급망연계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신설한다.

투자연계형 사업은 민간이 먼저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개발하는 공급기업에 투자하면 정부가 공급기업 성장을 함께 지원한다. 부처협업형 사업은 스마트공장 구축을 매개로 전략산업 육성과 산재예방 등 현안을 소관부처와 공동 해결하는 형태로 추진한다.

이번에 통합공고한 사업은 ▲일반형 스마트공장 ▲특화형 스마트공장 ▲협업형 스마트공장 ▲제조데이터 활용지원 ▲공급기업 얼라이언스 ▲수준확인·컨설팅 6개 분야다.

2023년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현황  (단위 : 억원)
2023년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현황  (단위 : 억원)

우선 고도화 수준의 스마트공장 구축에 836억원을 책정했다. 정부일반형 스마트공장은 지원 방식을 고도화1 수준 단일 지원방식으로 변경해 620억원을 지원한다. 310개 과제에 총 사업비의 50% 이내에서 과제당 2억원까지 지원한다. 대·중소 상생형에도 216억원을 지원한다.

전략분야 육성 등 특화형 스마트공장 구축에는 317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기술·업종·지원목표 등을 고려해 지원방식과 내용을 차별화했다.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은 35개사를 선정해 최대 70억원을 지원한다.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 구축에는 30억원, 투자연계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에는 36억원을 지원한다.

이밖에 공급망 연계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에 100억원, 제조데이터 활용 지원 사업에는 80억원, 클라우드형 스마트공장 종합솔루션 지원에 8억3000만원, 수준확인 및 컨설팅 등에 120억3000만원을 책정했다.

사업별 문의처
사업별 문의처

지원대상과 지원내용 및 조건 등은 향후 중기부 홈페이지(www.mss.go.kr) 또는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smart-factory.kr)에 세부 사업별 공고로 안내할 예정이다.

AI타임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키워드
#스마트공장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