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개발한 약물 부작용 및 용해도 예측 그래프 신경망 기술 예시 (그림제공=KAIST)
KAIST가 개발한 약물 부작용 및 용해도 예측 그래프 신경망 기술 예시 (그림제공=KAIST)

KAIST(총장 이광형)는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영국)과 공동으로 물질 내의 중요한 하부 구조를 탐지해 두 물질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물리적 성질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그래프 신경망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그래프 신경망은 화학, 생명과학 등 다양한 기초과학 분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는 기술이다. 특히 두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 성질을 예측하는 것은 다양한 화학, 소재 및 의학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두 분자 쌍이 있을 때 각 분자내에 존재하는 원자들 사이의 상호 작용만을 고려해 그래프 신경망 모델을 학습했다.

예를 들어 특정 발색체의 물(H2O)에 대한 용해도를 예측하고자 할 때, 발색체 내의 각 원자들에 대해 물 분자의 원자들 (즉, H, O)이 갖는 영향력을 고려하는 것이다.

반면 KAIST와 화학연 연구팀은 분자 구조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원자뿐만 아니라 작용기(Functional group)와 같은 분자내 하부 구조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예를 들어 알코올이나 예를 들어, 알코올이나 포도당과 같이 하이드록실기 (Hydroxyl group)를 포함하는 분자들은 일반적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이드록실기라는 작용기가 물에 대한 용해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분자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는 하부 구조를 추론하는 기술을 분자내의 중요한 정보를 최대한 압축해 보존하는 ‘정보 병목 이론’과, 분자 내의 어떤 하부 구조가 분자의 고유한 특성을 결정 짓는데 큰 역할을 했는지 대한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인과 추론 모형’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분자의 고유한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부 구조를 찾아내고, 분자 간 관계를 추론하는 문제에서는 상대방 분자에 따라 대상 분자의 중요한 하부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해 물질 간 관계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이번 새로운 그래프 신경망 기법을 의학에 적용하여 정보 병목 현상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약물 용해도 예측에서 11%의 성능 향상, 다중약물요법 부작용 예측에서 4%의 정확도 향상을 이뤄냈다. 또 인과 추론 모형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약물 용해도 예측에서 17%의 성능 향상, 약물 부작용 예측에서 2%의 정확도 향상을 이뤄냈다.

박찬영 교수팀은 정보 병목 이론을 기반으로 중요한 하부 구조를 탐지해 분자 구조 관계의 높은 예측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는 그래프 신경망 모델을 개발해 이달중에 열리는 기계학습 분야 최고권위 국제학술대회 ‘국제 기계 학습 학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ICML 2023)’에서 발표한다.

또 8월에는 인과 추론 모형을 기반으로 중요한 하부 구조를 탐지해 분포 변화에도 모델의 성능이 강건하게 유지되는 그래프 신경망 모델을 개발해 데이터마이닝 최고권위 국제학술 대회 ‘국제 데이터 마이닝 학회 ACM SIGKDD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KDD 2023)’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의 제1 저자인 이남경 박사과정은 "제안한 기술은 분자의 성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치는 하부 구조가 존재한다는 화학적 지식에 기반해 그래프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면서 "상대편 분자를 고려해 대상 분자의 중요한 구조를 찾는 방법론은 이미지-텍스트 멀티 모달 학습 방법에서도 적용될 수 있어, 심층 학습 전반적인 성능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을 지도한 박찬영 교수도 "제안한 기술은 화학적 지식에 기반하여 분자 간의 관계를 예측해 화학과 생명과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기계학습이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AI타임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