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CCTV통합관제센터(사진=광주시)
광주 CCTV통합관제센터(사진=광주시)

광주시(시장 강기정)가 통합 운영하는 ‘CCTV통합관제센터’가 시민의 안전한 일상을 보호하는 파수꾼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광주 CCTV통합관제센터는 지난 2013년 5월 광역 단위로는 전국 최초로 개소했다.

당시 센터에서 운영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은 방범용, 어린이보호용, 재난 대응 등을 위해 3000여 대가 설치됐다.

이후 10여 년간 운영 목적이 다양해지면서 현재 CCTV는 1만69대로 확대됐다. 10년새 3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8년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에 선정되면서 ▲112긴급영상 지원서비스 ▲경찰관 긴급 출동 지원서비스 ▲119긴급 출동 지원서비스 ▲재난상황 긴급 대응 지원서비스 ▲사회적 약자 지원서비스 등도 가능해졌다.

2019년 이후에는 아동·치매환자의 위급한 상황을 지원하고 전자발찌 위반자 검거, 긴급 수배차량 및 통과차량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는 올해 7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방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127대 설치 ▲불법주정차단속용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173대 연계 ▲중복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119대 이전·재배치 ▲비상벨 153대 설치 ▲노후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320대 교체 등을 추진한다.

특히 위험상황을 스스로 감지해 알려주는 ‘지능형 영상관제시스템 확충 사업’을 12월까지 시행한다.

이 사업은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에 지능형 영상관제 서버와 라이선스를 도입 ▲군중밀집 ▲지하차도 수위 ▲화재 등 위험상황 발생 때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자치구에서 설치한 126곳 386대와 광주시 투자산단과에서 운영해온 50대의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을 올해 말까지 이관, 광주시에서 통합 관제·관리할 예정이다.

박남주 시민안전실장은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언제 어디서나 안심도시 광주’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덕환 기자 odh@aitimes.comㄱ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