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안전 표준을 수립하기 위해 200여개 주요 기업을 포함하는 컨소시엄을 창설했다. 기존에 진행되던 업계 자발적인 안전 서약과는 다른 정부 주도 단체로, 미국 의회의 입법이 늦어지자 행정부가 움직임에 나선 것이다. 

로이터는 9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가 생성 AI의 안전한 개발과 배포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미국 컨소시엄에 200개 이상의 기업과 기관이 포함됐다고 발표한 사실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여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애플, 메타, 엔비디아, 인텔, IBM 등 빅테크는 물론 오픈AI, 앤트로픽, 코히어, 허깅페이스, 팔란티어 등 전문 스타트업, JPO 모건,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 다양한 기업과 연구소, 시민단체, 학계, 주정부 등이 가세했다.

이들은 미국 상무부 소속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를 중심으로 협력, AI에 관한 안전 표준을 수립하게 된다. 특히 'AI 안전을 전담하는 최초의 컨소시엄'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지나 라이몬도 상무부 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안전 표준 설정과 혁신 생태계 보호라는 두가지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라고 지시했다”라고 말했다. 

닉 클레그 메타 글로벌 문제 사장은 “진보와 책임은 함께 가야 한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에 대한 공통 표준을 개발하려면 업계, 정부 및 시민 사회 전반에 걸쳐 협력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우리는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AI 안전 연구소와 긴밀히 협력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컨소시엄 구성은 지난해 10월30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최초의 AI 관련 행정 명령에 따른 것이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AI 모델의 안전, 보안 및 테스트 표준 개발과 AI 생성 콘텐츠 워터마킹 규칙 개발을 촉진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

이와는 별개로 지난해 7월에는 MS, 구글, 메타, 아마존, 오픈AI, 앤트로픽, 인플렉션AI 등 7곳이 자발적인 'AI 안전 서약'을 발표하고 AI 안전 테스트 및 정보 공유, AI 생성 콘텐츠 워터마크 추가 등 8개의 안을 내놓은 바 있다. 이어 9월에는 엔비디아와 IBM, 어도비, 세일즈포스 등 8개 기업이 여기에 합류했다.

하지만 미 국회의 입법은 지지부진한 편이다. 지난해 중순부터 찰스 슈머 상원 원내대표 등을 중심으로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며 관련 포럼 등을 진행했지만, 그 사이에 유럽연합(EU)은 AI 법 초안에 합의하고 최종 승인만 앞두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컨소시엄 발족은 AI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스케일 AI의 존 브레넌 공공 부문 총괄 책임자는 “이를 통해 우리는 AI의 책임감 있는 사용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AI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미국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