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생성 인공지능(AI)와 가상현실(VR)을 3D스케칭과 결합한 미래형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연구하기 위해 27일 대전 본원에 ‘DRB-KAIST 스케치더퓨처 연구센터(센터장 배석형)’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로봇·모빌리티·인공 단백질과 같은 첨단 제조 산업 분야는 제품 개발 주기가 매우 길 뿐만 아니라, 설계 결함이 발견되면 아이디어 발상 단계로 돌아가 실물 제작과 테스트까지의 모든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또 복잡한 3차원 구조체가 한데 맞물려 움직이면서 고도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 2차원 스크린 작업 환경에서는 설계 의도를 입력하거나 결과물을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KAIST는 사람의 의도를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생성 AI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최신 가상현실 3D 스케칭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VR 몰입 공간 안에서 사람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즉시 3D 스케칭으로 시각화, AI가 이를 뼈대 삼아 구체화함으로써 실물을 제작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문제점을 수정해 점진적으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DRB-KAIST 스케치더퓨처 연구센터’는 ▲로봇 디자인 ▲모빌리티 디자인 ▲단백질 디자인을 3개 혁신 전략 분야로 삼고, 3D 스케칭 전문가인 배석형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를 필두로 명현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박대형·성민혁 전산학부 교수, 김경수·박해원·황보제민 기계공학과 교수, 김호민 생명과학과 교수 등 5개 학과 8명의 연구진과 KIST 박한범(뇌과학연구소) 박사가 범학제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동일고무벨트 주식회사(DRB, 대표 이윤환)는 연구센터를 통해 ▲정기 학술 워크숍 및 데모데이 개최 ▲DRB 연구원의 산학 교류 ▲DRB 매칭 조직의 신제품·신사업 탐색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 지원사업 합동 유치 추진 등을 진행한다.
배석형 DRB-KAIST 스케치더퓨처 연구센터장은 “사람이 가진 고도의 창의성을 스케칭을 통해 자유롭게 발상하고 표현하는 연구는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 KAIST-현대차, 자율주행 '차세대 라이다 시스템' 공동연구
- KAIST, 곤충 시신경과 유사한 비전 AI 반도체 개발..."초고속·저전력 엣지 AI 기대"
- KAIST, 100큐비트 양자컴퓨터 계산데이터 전격 공개
- KAIST "AI로 인간 추론 능력 극대화하는 기술 개발"
- KAIST, GPU 대규모 출력데이터 난제 해결..."생성 AI·메타버스 적용 기대"
- KAIST, 상황 맞춰 업데이트하는 AI 학습 데이터 선택 기법 개발
- KAIST "화합물 생성 AI 기술로 신약 개발 앞당긴다"
- KAIST, 뉴로모픽 신경망으로 경계선 인식·그래프 색칠 문제 해결 시스템 구축
- KAIST, 소비 전력 15배 줄이는 뉴로모픽 반도체 메모리 소자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