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현대자동차그룹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인공지능(AI)과 산업용 디지털 트윈으로 차세대 차량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CES 전시회에서 9일(현지시간) 발표된 이번 협력을 통해 현대자동차그룹의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을 엔비디아 가속 컴퓨팅, 생성 AI, 디지털 트윈, 물리 AI 기술 등으로 강화한다는 목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제조 라인 최적화와 함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과 로봇을 비롯한 주요 모빌리티 제품에 광범위한 AI 이니셔티브를 도입하고 있다.
김흥수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전략 부사장은 “현대자동차그룹은 로보틱스, 자율주행, 스마트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접근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우리의 발전을 가속화해, 현대자동차그룹이 AI 기반 모빌리티 혁신을 주도하는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급 컴퓨팅과 인프라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첨단 AI 모델을 훈련하고,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스택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방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 엔비디아 OVX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을 통해 기존 소프트웨어 툴 전반에 디지털 스레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차량 설계와 프로토타이핑을 달성할 수 있다. 엔지니어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출시 기간을 단축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과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배포에 있어 시뮬레이션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시뮬레이션은 모든 가능한 날씨, 교통 상황, 위치는 물론 드물거나 위험한 시나리오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안전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옴니버스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트윈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기존과 미래 제조 라인을 시뮬레이션으로 최적화할 예정이다. 디지털 트윈은 생산 품질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전반적인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또 옴니버스를 기반으로 구축된 로보틱스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인 엔비디아 아이작 심(Isaac Sim)을 사용해 공장에 배치할 산업용 로봇을 제작하고 훈련할 수 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