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UNIST)
(사진=UN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박종래)가 인공지능(AI) 기반 지식재산권 권리유지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기술이전 계약서를 자동 분석하고 핵심 정보를 뽑아내는 방식이다. PDF 문서를 신속하게 읽고 분류하는 자체 대형언어모델(LLM)을 적용했다. ▲PDF 텍스트 자동 인식·분석 ▲계약유형(통상·전용·양도) 분류 ▲계약기간·주체·특허 비용 납부자 추출 ▲계약 패턴 학습을 통한 정확도 향상까지 가능하다. 수십건의 계약서를 5분 안에 분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차수미 UNIST 기술가치팀장은 “AI 자동화 덕분에 단순 업무에서 벗어나 전략적 과제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라며 “계약서 분석의 정확성과 일관성이 크게 높아졌다”라고 말했다.

데이터 가공과 계약 검토 기간은 반기별 4주에서 하루로 줄었다. 담당자 수도 5명에서 1명으로 축소됐다.  반복적인 행정 업무도 해소하면서 표준화된 프로세스로 신뢰성까지 확보했다고 전했다.

UNIST는 이번 성과를 시작으로 연구관리, 학사행정, 시설관리 기술 등 AI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다른 기관과도 손잡아 대학 특허 관리의 새로운 모델을 확산하겠다는 구상이다.

박종래 총장은 “이번 시스템은 AI 캠퍼스 구축을 위한 대학 AI 위원회 활동의 첫 성과”라며 “AI를 창의성을 여는 핵심 도구로 삼아, UNIST가 통찰력 있는 AI 인재를 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