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훈 SK 이노베이션 팀장이 세션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이정훈 SK 이노베이션 팀장이 세션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대표 조원우)는 26일 역삼 GS타워 아모리스홀에서 ‘AI 트랜스포메이션 위크 - 제조업의 미래, 에이전틱 AI로 다시 쓰다’ 컨퍼런스를 진행, 국내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 전환 사례를 선보였다.

먼저, 이정훈 SK이노베이션 팀장은 사내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 팀즈를 중심으로 AI 워크플로우를 어떻게 구축했는지 설명했다. 

MS 파워 오토메이티드를 통해 GPT를 호출, 이후 보고서 등 데이터에 대한 추출, 요약, 번역, 분류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물을 팀즈 내로 발송하는 방식으로 아키텍처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특히, MS 애저 도큐먼트 인텔리전스 기반 광학문자인식(OCR)으로 맥락 추론 기반의 글자 인식을 진행해 손글씨 데이터 인식에 대해서도 업무자동화를 이룰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다음 스텝으로 실제 행동하는 AI를 도입하기 위해, 현재 사내용 자율-지능형 에이전틱 AI 프로토타입을 개발해 둔 상태라고 전했다.

윤태환 포스코인터내셔널 차장이 세션 발표를 진행 중이다.
윤태환 포스코인터내셔널 차장이 세션 발표를 진행 중이다.

윤태환 포스코인터내셔널 차장은 ‘데이터 자산화’를 기반으로 하는 AX 사례를 발표했다.

먼저, MS 패브릭을 도입해 데이터 수집부터 저장 및 처리, 분석 시각화 등 여러 서비스가 포함된 데이터 통합 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전했다. 또, MS 퍼뷰(Purview)를 통해, 사내 데이터 통합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 포털’을 구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윤태환 차장은 “데이터 품질이 중요하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아키텍처를 설계하는지에 대한 것”이라며 “이러한 최적의 아키텍처는 MS 생태계 내에서 모두 구현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MS는 도메인 특화 B2B 시장에 점차 더 집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국MS 관계자는 “도메인 맞춤 솔루션 지원 행보를 이어갈 것이며, 제조도 가장 집중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