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양자 연구개발(R&D)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 연구 커뮤니티에 참여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ㆍ총장 신성철)은 비즈니스와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양자 컴퓨팅 기술 발전을 목표로 'IBM Q 네트워크'에 합류했다고 29일 밝혔다.
IBM Q 네트워크는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의 실질적 응용ㆍ실증 연구를 수행하는 글로벌 커뮤니티다. 포춘 500대 기업, 교육기관, 스타트업, 연구소 등이 IBM과 협력해 다양한 R&D를 진행한다.
KAIST는 IBM Q 네트워크 학술 멤버로 참여해 IBM의 양자 컴퓨팅 시스템을 바탕으로 양자 정보 과학 발전과 초기 애플리케이션 탐구 등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 양자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인재 교육ㆍ훈련에 IBM 양자 재원을 활용할 방침이다.
현재 KAIST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IT 인력양성 연구센터는 IBM 클라우드를 바탕으로 한 IBM 퀀텀 익스피리언스를 양자 알고리즘 개발, 양자 컴퓨팅 교육 등에 활용하고 있다.
KAIST는 이번 IBM Q 네트워크 합류로 양자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질병 진단, 양자 전산화학, 양자 기계학습 기술 등에 IBM의 최상급 양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KAIST는 4차 산업 혁명을 실현하는 데 양자 컴퓨팅이 중요한 실행 기술일 것으로 예상하며 관련 생태계 육성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멤버십 체결을 담당한 이준구 KAIST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IT 인력양성 연구센터장은 "양자 컴퓨팅은 복잡한 계산 문제를 적은 전력으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라고 설명하며 "이번 IBM Q 네트워크 합류는 국가적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라고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