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로봇산업 정책심의회를 통해 산업 전환의 매개체로서 로봇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2022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실행계획은 제3차 기본계획(‘19~’23)의 주요 추진과제인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보급, 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이행을 위한 세부계획을 담고 있다.
정부는 제조 및 서비스 로봇의 연구개발 및 보급 확산을 위해 정부는 전년대비 10% 증가한 2,440억원을 투자하고 국민의 삶의 질 제고 및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로봇도 1,600여대 보급할 계획이다.
또한 자율주행 로봇의 보도 통행 제한 등 그간 로봇산업 발전을 저해해온 규제 개선을 위한 관련법령 정비에 착수하고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2.0’을 수립해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 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2022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의 주요 내용을 보면 첫째,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해 로봇 활용 표준 공정 모델을 추가 개발하고 기개발 모델의 보급 확산에 주력한다. 기존 3대 제조업(뿌리‧섬유‧식음료) 뿐 아니라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큰 항공, 조선, 바이오화학 등을 중심으로 표준 모델 개발을 확대한다. 또한 기개발된 표준공정 모델 확산을 위해 기존 모델을 적용한 제조로봇 220대를 현장 실증(산업부)하고 수요처 확산·보급(중기부, 60개사)을 추진한다. 이와함께 민간의 자생적 제조로봇 도입 확산을 위해서 ‘DB 통합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로봇 리퍼브(Refurb) 센터를 새롭게 구축할 예정이다.
둘째, 고령화, 감염병 상황 장기화 등 사회문제 해소에 초점을 둔 4대 서비스 로봇(돌봄‧ 웨어러블‧의료‧물류) 개발과 대규모 실증을 추진하고 관련 규제 개선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HRI(인간로봇 상호작용) 기반의 반려로봇, 일상생활 보행보조로봇 등 로봇 개발에 착수하고 국민생활 밀접시설을 중심으로1,600대 이상 대규모 로봇 보급 및 융합 실증을 추진한다. 이와함께 ‘로봇산업 규제 로드맵 2.0’을 수립하고 자율주행 로봇 보도 통행 허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능형 로봇법 개정 작업도 착수해 로봇 친화적 환경을 만들어갈 예정이다.
셋째,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핵심부품‧SW개발 지원과 실증 인프라 구축 및 인력양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다품종 생산을 위한 스마트 그리퍼, 비정형 환경 내 이동지능 SW 등 로봇 핵심기술 개발 및 국산 부품의 활용‧실증을 지원하고 신기술(인공지능·빅데이터·5G·클라우드 등)이 융합된 첨단 로봇의 실증 및 시험·인증 기반 구축으로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할 계획이다. 또한 현장 수요를 반영한 실무형 전문인력 양성 등을 통해 로봇 산업의 기초체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전 산업의 디지털화(고도화)를 실현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로봇이 핵심 수단’으로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제조·서비스분야의 다양한 로봇수요를 충족시키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로봇 서비스를 확산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및 업계와 협조해 2022년도 실행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I타임스 박찬 위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