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철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 주재로 19일 오전 광주테크노파크 제2단지 헬스케어로봇실증센터 회의실에서 광주 인공지능(AI) 산업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광주 AI유치기업 간담회가 열렸다. 10개의 광주 AI유치기업이 참석해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발전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1. "AI 지역인력 없다"

2. "광주 AI 인프라 조성 속도내야"

3. 시민들에게 멀고 먼 AI 당신

4. 광주 AI유치기업들 “FLEX(전폭적인)한 지원 필요하다”

5. “돈 될 수 있는 ‘AI 먹거리’ 부족”

“AI를 하는데 필요한 인프라들이 있습니다. 광주테크노파크를 활용해 AI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실험과 실습을 할 수 있게 공통 하드웨어를 빨리 준비해서 기업들이 쓸 수 있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최근 광주로 이전한 AI기업 대표 A씨)

“저희는 펫 케어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관련 데이터 셋을 구축하기가 어렵습니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데이터 셋 확보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최근 광주로 이전한 AI기업 대표 B씨)

최근 광주시는 간담회를 열어 광주로 법인을 이전하고 사무소를 개소한 10개 AI기업의 애로사항을 듣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AI기업들은 운영상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논의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그 가운데 데이터 셋과 실증·테스트 베드 등 공통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모아졌다.

조인철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의 주재로 열린 간담회에는 ㈜인코어드피앤피, ㈜티맥스인공지능개발센터, 솔트룩스 광주인공지능센터, ㈜텔스타-홈멜, ㈜나무인텔리전스, ㈜엑센트리벤처스, ㈜싸이버메딕, ㈜알파도, ㈜바이스, ㈜웨이브에이아이 등 총 10개 기업이 참여했다.

지영호 알파도 대표가 소규모 기업 대상 데이터 셋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개발·실험·실증 공통 하드웨어 구축 시급

본격적인 사업계획에 들어간 일선 AI기업들은 자유롭게 개발·실험·실증을 할 수 있는 공통 하드웨어를 빠른 시일 안에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수 텔스타-홈멜 대표는 “광주에 사무소를 개소하고 사업을 추진하려고 보니 관련 장비를 살 수밖에 없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3억 원을 들여 구입했다”며 “광주 AI인프라를 활용하려고 왔는데 값비싼 장비들을 사려니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광주시가 실증 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다. 광주 송정역 일원에 AI기반 자율주행, 헬스케어, 에너지, 환경, 문화 등 신제품과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가 생길 예정이다. 올해 6월 광주시는 내년부터 2025년까지 1조원을 들여 광주송정역 일원을 AI기술을 적용한 AI시범(실증)도시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장 사업을 진행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기반 인프라가 구축될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AI기업들은 관련 인프라 구축도 시급하지만 광주 테크노파크 등 기반 시설을 AI기업들이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경우 나무인텔리전스 법인장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데이터 바우처 사업은 광주 법인 단위로는 신청할 수 없었다”며 기반을 둔 AI기업 대상의 데이터 셋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데이터 셋 구축·지원 중요해

AI의 핵심은 데이터다. AI기업들은 광주 기반을 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셋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경우 나무기술인텐리전스 법인장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데이터 바우처 사업은 광주 법인 단위로는 신청할 수 없었다”며 기반을 둔 AI기업 대상의 데이터 셋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광주가 AI기반 주력산업으로 꼽은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외 다른 분야 데이터 구축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지영호 알파도 대표는 "펫케어 관련 데이터가 많이 부족하다"며 "특히 소규모 기업 대상 데이터 셋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은 “AI특화 데이터 센터가 12월 착공을 향해 잘 진행되고 있는 상태”라며 “데이터 구축에 대한 관련 지원 내용을 강구해 보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지난해 정부로부터 ‘AI 중심 산업융합집적단지’ 조성 사업을 승인받아 첨단 3지구에 AI산업융합 직접단지를 구축하고 있다. AI 집적단지 조감도.

광주시는 지난해 정부로부터 ‘AI 중심 산업융합집적단지’ 조성 사업을 승인받아 첨단 3지구에 AI산업융합 직접단지를 구축하고 있다. 2024년까지 첨단3지구 4만6200㎡ 규모 부지에 데이터센터, 실증동, 창업동 등 AI 핵심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AI 특화 데이터센터는 GPU 연산량 88.5PF, 저장공간 107PB 규모의 그래픽처리장치(GPU)기반 컴퓨팅파워 및 데이터 중심의 자원을 확보한 세계 10위권 성능의 AI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다. 센터는 923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2022년 완공된다.

광주광역시 동구에 조성되는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 구축사업 일환 AI 개방형 의료 빅데이터 포털사이트.

 

광주시, AI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진행

광주광역시와 동구는 ‘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데이터센터에 저장‧공유할 계획으로 병원‧개인 의료데이터 등을 활용한 제품 개발과 사업화를 위해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남대학교병원,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등이 참여한다.

동구창업지원센터에 2층에 스타트업 커뮤니티센터, 전남대학교병원에 데이터센터를 조성하고 개방형 헬스케어 빅데이터 플랫폼 만들어 관련 데이터를 AI스타업이 활용할 수 있게 한다. 35억원을 투입해 12월 말까지 조성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의료 공공데이터 가이드라인 사전예고를 발표해 관련 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정태 광주인공지능센터 법인장과 텔스타-홈멜 관계자가 간담회에 참석해 기업 애로사항을 말하고 있다.

 

AI 실증 가능한 디지털 파크 등 계획

AI 관련 하드웨어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광주시에서 여러 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안신걸 광주시 인공지능정책과장은 “자율주행·자율주행 파킹 시스템 등을 실증할 수 있는 디지털 파크 국비 사업을 신청해놨다”며 “조만간 좋은 결과가 있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파크는 AI관련 자율주행차, AI검진서비스, 마이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공간, 데이터 기증 시설, 건강헬스센터 등으로 조성될 것 같다”며 “파크는 첨단 3단지가 아닌 민간공원으로 조성하는 5곳을 검토해 지정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