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과기정통부)
(이미지=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2021 ICT 산업전망컨퍼런스'를 10일부터 11일까지 2일간 온라인을 통해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행사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변화와 향후 전망과 정책 방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산업 전망을 통한 국내 ICT 산업 대응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컨퍼런스는 과학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등 11개 전문기관이 주최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20주년을 맞이하는 이번 컨퍼런스는 매년 국내․외 ICT 전문가와 산업계 등이 참여하여 ICT 산업 동향과 정책, 산업계 역할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장으로 자리매김하여 왔다"고 설명했다.

컨퍼런스는 20대 청년 2000여명을 대상으로 ‘ICT 미래’를 주제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20대가 생각하는 5가지 ICT 미래 세상을 학술대회(컨퍼런스) 주제로 선정했다. 각각 ▲편리한 세상 ▲안전한 세상 ▲함께하는 세상 ▲공정한 세상 ▲혁신적인 세상 등 5개 주제에 총 20개 분야를 다룬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뉴딜의 핵심 산업인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중심의 산업 전망을 접목하여 20대 청년들도 보다 쉽게 정보통신기술(ICT)과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첫날인 10일에는 전직 과기정통부 장관 축하 영상과 함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석제범 원장 개회사, 과기정통부 김정원 정보통신정책실장 환영사, 국회 과방위원장인 이원욱 의원, 과방위 간사 조승래, 박성중 의원 영상 축사 순으로 개막식이 진행된다. 

이후 블룸버그가 선정한 세계1위 미래학자 퓨처리스트 인스티튜트의 제이슨 솅커(Jason Schenker) 회장의 ‘포스트코로나 시대 세계 질서’에 대한 강연이 진행된다.
 
이 밖에도 ▲김난도 서울대 교수의 ‘포스트 코로나시대 ICT 소비자 트렌드’ ▲손재권 더 밀크 대표의 ‘ICT 동향과 시장 변화도 차례로 발표할 예정이다.

11일에는 코로나 이후(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디지털뉴딜의 핵심 산업인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과 비대면 시대 산업 대응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자리로 꾸며질 예정이다.

오전에는 ‘편리’, ‘안전’을 주제로 D.N.A 등 디지털 신기술 활용·전환, 정보보안의 중요성 등에 대해 진행된다. 이후에는 ‘함께’, ‘공정’, ‘혁신’ 주제로 ICT 방향과 산업 환경, 미래 준비 현황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에는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처음으로 비대면 방식을 채택하여 누리집을 비롯한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tv, 카카오tv 등을 통해서도 무료로 시청이 가능하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환영사를 통해 “전 세계적인 코로나 위기 상황 속에서도 최근 한국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중심으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정보통신기술(ICT) 종사자의 공이 크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차질 없는 디지털뉴딜 정책 추진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이 혁신적으로 발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네이버, AIㆍDATA 교육 영상 10편 공개… 공모전과 연수도 진행

[관련기사] [현장스케치] 코엑스에서 인공지능과 대화를 나누자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