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셔터스톡)
(원본=셔터스톡)

AIoT(AI+사물인터넷)이 완벽하게 구축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 기술이 필수다. 5G와 LTE 등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셀룰러 IoT를 비롯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의 기술이 대표적이다.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이 중 셀룰러 IoT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부품을 제공했다. 하지만 또 다른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인 Wi-Fi 솔루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노르웨이 소재의 글로벌 블루투스 칩 공급업체다. 블루투스 외에도 셀룰러 IoT 등 다양한 무선 솔루션을 제공한다.

IoT에 사용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제품이 주력 상품이다. 전 세계 BLE 1위 기업으로 수년간 4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BLE는 웨어러블, 스포츠시계, 스포츠 센서, 헬스케어 센서, 무선마우스, 홈 IoT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된다.

지난달 국내 LG이노텍이 자사 IoT 제품의 무선 연결을 위해 노르딕 BLE를 도입하기도 했다.

노르딕은 이미지네이션 테크놀로지의 와이파이(Wi-Fi) 개발팀과 관련 핵심 기술자산(IP)을 1일 인수하며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가지 무선 기술을 제공하는 몇 안 되는 회사 중 하나가 됐다고 1일 밝혔다.

노르딕은 이번 인수로 모든 무선 기술을 통합한 개발 플랫폼과 환경을 만들 계획이다.

키에틸 홀스타드 노르딕 제품관리 디렉터는 "기술적 진입장벽을 낮추고, 불필요한 모든 설계 복잡성을 제거해 노르딕 고객들이 노르딕 기반 제품과 애플리케이션에 고품질의 저전력 Wi-Fi 기능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네이션은 AI 프로세서 전문 기업으로 자사의 인공지능 개발 능력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이먼 베레스포드-와일리 이미지네이션 CEO는 “이미지네이션은 그래픽, 비전, AI 프로세싱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와이파이 IP 사업부는 무선 연결을 중심에 두고 전략적, 기술적, 상업적 혁신과 성장에 주력하는 회사 내에서 훨씬 더 장기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며 이번 매각 이유를 설명했다.

이미지네이션은 30년 이상된 영국 GPU 칩 설계 회사다. 2008년부터 애플에 GPU를 납품했으나 2017년 애플이 GPU 자체 생산을 결정하며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중국 정부 펀드에 인수되고, 런던 증권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됐다.

현재 이미지네이션은 AI 관련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AI 기업으로 변신을 꾀하는 이미지네이션(사진=이미지네이션 홈페이지 캡처)
AI 기업으로 변신을 꾀하는 이미지네이션(사진=이미지네이션 홈페이지 캡처)

인수에는 영국, 스웨덴, 인도, 대만 등 전 세계에 널리 퍼져있는 이미지네이션 직원이 포함된다. 노르딕은 글로벌 기업으로 해외의 Wi-Fi 인력을 모두 포용할 것임을 강조했다.

스벤-토르 라르센 노르딕 CEO는 “새로운 직원들과의 융합을 신속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며, 그리고 개인적으로 노르딕은 세계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반도체 기업 중 하나라는 점을 그들에게 강조하고 싶다"며 "우리는 오랫동안 다수의 글로벌 지역을 성공적으로 운영해 왔으며, 새로운 직원들이 따뜻한 환영 속에 우리의 일상적인 업무와 직원 문화에 통합되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롭게 통합된 직원 중 약 15%는 블루투스 LE (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전문가들이다. 노르딕은 기존 블루투스 LE팀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스베인-에길 닐슨 노르딕 CTO는 “이번 인수를 통해 노르딕 세미컨덕터와 특히 스마트 홈 시장 고객들의 꿈이 실현됐다”며, “단거리 블루투스 무선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자 장거리 셀룰러 무선 IoT 시장의 신흥 강자인 노르딕은 오랫동안 고객들이 요청했던 Wi-Fi 기술 지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즉시 판매할 수 있는 Wi-Fi 디바이스가 아닌 IP를 인수했기 때문에 즉각적인 변화는 일어나지 않겠지만, 향후 차세대 노르딕 제품에 와이파이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왼쪽부터 노르딕  닐슨 CTO, 라르센 CEO, 홀스타드 제품관리 디렉터(사진=노르딕)
왼쪽부터 노르딕  닐슨 CTO, 라르센 CEO, 홀스타드 제품관리 디렉터(사진=노르딕)

AI타임스 양대규 기자 yangdae@aitimes.com

[관련기사] LG이노텍, AIoT용 노르딕 블루투스LE 채택

[관련기사] Arm, AIoT 혁신 가속화 위한 '플렉서블 액세스' 업데이트 발표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