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분야에서 파이썬(Python), AI에서는 기계학습, 웹 개발에서 리액트(React),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아마존 웹 서비스(AWC)가 고공행진 중이다.
25일 (현지시간),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문 미국 출판사 오라일리 미디어는 자사의 온라인 학습 플랫폼(O’Reilly Online Learning) 키워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0 프로그래밍, 웹, 클라우드 AI 키워드 분석물을 보도했다. (원문기사)
◆ 프로그래밍 언어
이용자 비율이 높은 랭킹 순으로는 ▲파이썬 ▲자바(Java) ▲C++ ▲C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등이 있다. 하지만 증가율로 보았을 때 파이썬 (27 % 증가), 자바 (3 % 감소), C ++ (10 % 증가), C (12 % 증가) 와 자바스크립트 (40 % 증가). 더 나아가 Go(16 % 증가)는 동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자리를 잡았다. Rust는 클라우드 운영을 위한 도구를 구축하는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 크게 성장했다.
줄리아 (Julia) 성장률은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오라일리 미디어는 "장기적으로 볼 때 증가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2020년 프로그래밍 언어상 파이썬 수상, TIOBE 선정
◆ AI · 기계학습 · 데이터 분야
전반적으로 이용률이 높지만, 기계 학습이 1위를 차지했다. OpenAI GPT-3와 같은 뚜렷한 성과 달성에 힘입어 자연어 처리 기술(NLP)도 21% 증가했다. 한편 이용률은 낮지만 연구원들이 많이 사용하는 파이토치 (PyTorch)와 레이(Ray)도 증가율이 높았다. 하지만, "현재 텐서플로 (TensorFlow)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연구원이 되면, 파이토치보다 텐서플로 증가율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 웹개발 라이브러리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하나인 리액트(React)가 이용률 1위를 차지했다. 그 밖에 뷰 (Vue) 관련 콘텐츠 사용량은 작년에 13 % 감소한 반면 플라스크 (Flask)는 10% 증가했다. 웹 개발의 시조로도 불리는 ▲HTML (22%) ▲CSS(46%) ▲리액트(40%)도 이용률이 꾸준하게 성장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서비스 분야에서 아마존 웹서비스(AWS)가 이용률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클라우드(Cloud)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Azure) ▲구글 클라우드 (Google Cloud)가 증가율에서는 앞섰다. 오라일리 미디어는 많은 회사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어서 키워드도 대부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AI타임스 배준영 기자 jybae0127@ait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