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는 지난해 12월 자율주행버스 시연 운행을 진행했다.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도담동 6km 구간을 제한속도 50km로 달렸다.(사진=국토교통부)
세종시는 지난해 12월 자율주행버스 시연 운행을 진행했다.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도담동 6km 구간을 제한속도 50km로 달렸다.(사진=국토교통부)

값비싼 자율주행차를 구매하지 않아도 ‘버스’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각국이 대중교통 분야에 자율주행기술을 시범 적용하는 사례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20일 스페인 남부 도시 말라가(Málaga)에서는 ‘실물’ 크기의 자율주행버스 시범운행이 시작됐다. 자율주행버스 운영은 이미 세계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실제 크기의 버스에 시민을 태워 달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앞뒤 길이 12m에 달하는 버스로 승객 60명을 태울 수 있다.

버스는 하루 6번 도심과 말라가 항구까지 8km 노선을 달린다. 오는 13일까지 시범운행을 거쳐 안정성 검사와 시민 만족도 등을 분석한다. 스페인의 경우 무인운행에 대한 허가 법규가 없어 안전사고에 대비한 운전자가 동승한다.

스페인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버스를 활용한 자율주행사업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본은 지난달 15일부터 28일까지 약 2주간 마에바시역 부근 1km 구간에서 자율주행 ‘미니버스’ 실증 실험을 진행했다. 지난해 6월에는 핀란드 헬싱키를 비롯한 유럽 5개 도시에서 자율주행 버스 실증 프로젝트 파불로스(Fabulos)가 진행된 바 있다.

국내 역시 자율주행버스 운행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국내 자율주행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차량 중 승용차를 제외하면 버스, 무인셔틀의 비중이 가장 높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기준 자율주행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차량은 총 135대다. 이중 승용차가 109대로 압도적으로 많다. 하지만 승용차를 제외한 26대 차량 중 버스가 7대, 무인셔틀이 9대로 약 60%를 차지해 가장 많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버스를 활용한 자율주행서비스도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이르면 올해 상반기 마포구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내 ‘상암자율주행테스트베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유료화'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지구 내 시범운영을 거친 후 유료화 사업에 대한 참여 희망 기업 수요조사를 마친 상태다.

이에 서울시는 50대 규모 차량에 대해 사업수립계획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관련 조례 개정과 기업 수요 조사 재검토 후 유료화 실증사업이 실시될 예정이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8대 순환버스를 비롯해 14대 자율주행차가 운영된다. 나머지 차량에 대해서는 내년 추가 배치된다.

자율주행버스 요금은 기업이 사업 신청 시 제시한 자료를 토대로 1000~5000원 선에서 책정될 예정이다. 6인~13인승 규모 버스로 운영되며 안전사고를 대비해 운전자가 동승한다.

세종시에서는 말라가처럼 실물 크기의 45인승 자율주행버스가 도로를 달린 바 있다. 세종시는 한국교통연구원과 협력해 지난해 12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노선을 달리는 자율주행 버스 실증 시연을 진행했다.

‘자율주행기반 대중교통시스템 실증연구사업’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시연에서는 ‘레벨3’ 자율주행시스템을 탑재한 버스가 도로 위를 달렸다. 50km/h 제한속도로 세종시외버스터미널-도담동 약 6km 구간 시연 운행을 진행했다. 레벨3 자율주행시스템은 운전 책임과 제어 주체가 ‘차량’에 있는 본격적 자율주행을 뜻한다.

세종시 BRT 자율주행버스 개발사업은 상용화 바로 전 단계인 기술 ‘실용화’ 단계에 있다. 올해 말까지로 예정된 개발사업을 마치면 이후 상용화를 위한 절차를 밟게 된다.

정부는 이에 맞춰 자율주행차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제도도 발빠르게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정부는 서울, 충북 제주를 비롯한 6개 지역을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했다.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지구에서는 규제 특례를 받아 유상운송 등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런 상황 가운데 자율주행차 서비스가 유독 ‘버스’ 부문에서 활성화되는 이유는 공공성 때문이다. 서울시 이수진 교통정보과장은 “자율주행 실증사업에 버스를 활용하는 건 여럿이 탈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라며 “대중교통 육성 차원에서도 그 이유가 있다”라고 말했다.

AI타임스 장희수 기자 heehee2157@aitimes.com

[관련기사]혼다, '레벨3' 자율주행차 판매 개시... '손 놓고' 자동차 타는 시대 개막

[관련기사]국내 자율주행차 몇 대나 달리고 있을까?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