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자립 도시로 성공하려면 에너지 순환 분석이 가능한 스마트 도시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AI 기술 스마트 도시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무궁한 기술이 우리 눈앞에 펼쳐질 것입니다.”
광주광역시가 탄소중립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려면 스마트시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져야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나아가 인공지능(AI) 중심도시 광주 만들기 사업과 에너지자립 도시를 목표로 선언한 광주에서 에너지 기반 스마트 시티 조성 전략이 제시돼야 한다는 주문이다.
광주시는 지난해 9월 ‘광주형 AI-그린 뉴딜’ 선포식을 갖고 ‘탄소중립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 추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RE100은 기업·기관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 전화하는 프로젝트다.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RE100 제도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는 세계 목표 기준인 2050 RE100 보다 5년 앞선 2045년에 RE100를 실현하겠다고 선포했다. 목표 실현을 위해 올해 1월 ‘RE100 추진협의체’도 구성했다.
탄소중립에서 스마트 도시의 역할
김정곤 SH서울주택도시공사 스마트시티 사업단장은 26일 광주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스마트시티포럼 출범식에서 “탄소중립에서 에너지 쌍방향 관리는 필수적”이라며 “이러한 분석에 스마트 기술 특히 AI가 이를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10명 중 9명이 도시에 살고 있으며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 70%가 거주 할 것으로 예상 된다”며 “미래도시는 인구를 유지하면서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에너지 자율 효율성을 높여 기존의 도시의 문제들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에너지 소비형에서 에너지 전략형으로 나아가야 하지만 아직 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탄소중립을 먼저 실현한 외국 사례들을 소개하며 “덴마크의 도시 코퍼하겐은 2025년 RE100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해외 스마트 선도 도시들은 스마트한 기술을 가지고 도시의 물질의 흐름을 분석해 에너지를 관리하고 있어 에너지 자립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에너지 자립의 성공은 에너지 순환이 어떻게 흘려가는지에 대한 분석부터 가능해야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이러한 분석조차도 안 돼 있다는 게 김 단장의 설명이다.
마곡 신도시 e 모빌리티·이끼타워로 미세먼지·이산화탄소 줄여
이어 마곡도시개발사업 지구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도심 내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CO2)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 모스윌’을 소개했다. 이끼를 이용해 공기 중 오염물질과 미세먼지를 흡수해 공기정화 효과를 내는 시스템이다. 이끼타워라고도 불린다. SH공사가 민간전문기업과 협력해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SH 스마트 이끼타워'를 개발해 특허 출원하고 9호선 마곡나루역 인근에 시범 설치했다.
그는 “마곡도시개발사업지구는 약 110만 평이고 서울로 보면 서남권 광역 중심지로 전철로 두 정거장만 가면 김포공항”이라며 “녹지, R&D 기반 산업단지, 업무 상업단지, 주거단지 준공이 80%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어 “마곡지구에 놓은 스마트 이끼 타워는 높이가 2m 정도로 공기 정화 필터, 자동 관수 시스템, 온도, 습도까지 스마트폰에서 제어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스마트 모스윌은 e 모빌리티 정류장으로도 쓰인다, 스마트 그린 스트리트 플랫폼은 “폭염을 예방하고 일 년에 미세먼지 약 12㎏과 이산화탄소 240t(톤)을 저감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센서기술을 이용해 공기 유형별로 확대해서 설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스마트시티 미래포럼은 4차 산업혁명시대 인간 중심의 스마트도시를 구현하고 정책 발굴과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26일 출범했다. 광주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창립식을 갖고 ‘한국판 뉴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시티 발전방안’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임미란 초대회장(의원)은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미래도시, 스마트시티를 통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무엇이 필요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고민하게 됐다”며 “최첨단 정보화 기술과 함께 인간과 사물이 융합해 살아가야 하는 미래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미래포럼’이 출범했다"고 밝혔다.
AI타임스 구아현 기자 ahyeon@aitimes.com
[관련기사] "광주광역시를 AI 특화 스마트 도시로 만들겠습니다"
[관련기사] [광주에 둥지를 튼 AI 기업] 이민 한컴엔플럭스 대표 “AIoT 플랫폼으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한 도시 만들 것”
